"운동세포 서서히 죽이는 루게릭병 치료제 릴루졸, 치매에도 효과"

 운동신경 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치명적인 질환인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일명 루게릭병 치료제인 릴루졸(Riluzole)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20년 동안 루게릭병 치료제로 사용되어온 릴루졸은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보내는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를 조절한다.

 글루타메이트 조절이 안 되면 치매 발생과 연관이 있는 신경독성의 악순환이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발견 재단(ADDF: Alzheimer's Drug Discovery Foundation) 연구실장 하워드 필리트 박사 연구팀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50명(50~90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2상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9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릴루졸을, 다른 그룹엔 위약(placebo)을 하루 2번씩 6개월간 투여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특수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FDG PET)으로 뇌의 포도당 대사를 측정하고 인지기능 테스트도 시행했다.

 PET 영상 분석에서는 릴루졸 그룹과 대조군 사이에 뇌의 포도당 대사의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다.

 릴루졸 그룹은 치매와 관련된 핵심 부위로 기억력과 주의력을 관장하는 후대상 피질(posterior cingulate)을 비롯, 뇌의 여러부위에서 포도당 대사가 유지됐다.

 포도당 대사의 변화는 신경심리 검사와 신경영상 생물지표로 측정한 기억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공간 지각 등 인지기능의 변화와 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공명분광법(MRS: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으로 측정한 글루타메이트의 변화도 인지기능의 변화와 연관이 있음이 확인됐다.

 부작용은 릴루졸 그룹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과는 3상 임상시험으로 넘어가기에 충분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게릭병은 운동을 담당하는 신경세포가 퇴행성 변화로 점차 소실되면서 근력 약화와 근육 위축으로 언어장애, 사지 무력, 체중감소 등의 증세가 나타나다가 결국 호흡 기능 마비로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2~5년. 완치 방법은 없다. 현재의 치료법은 진행을 늦출 수 있지만 위축된 근육 기능을 유지 또는 회복시키지는 못한다.

 게릭병이란 명칭은 1930년대 미국의 유명 야구선수 루 게릭이 38세의 젊은 나이로 이 병에 걸려 사망하자 그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연구 결과는 영국의 뇌 과학 전문지 '뇌'(Brain)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 아직은 집단행동 자제…정부 강경기조에 '신중 모드'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 단체가 즉각적인 집단행동에 나서기보다는 우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며 신중을 기하는 모양새다. 정부에서도 전공의들이 당장 집단행동 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데에 한숨을 돌렸다. 다만 전공의들이 언제든 집단휴진과 같은 총파업이나 집단사직 등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전공의들이 수련 재계약 거부 등 법적 테두리 내에서 투쟁을 모색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 대전협, '비대위 체제' 전환…집단행동은 표명 안해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전날 진행된 온라인 임시대의원총회에서 박단 회장을 제외한 집행부 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의결했다. 대전협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보고하면서도, 향후 집단행동 계획에 대해서는 명확히 공개하지 않았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전공의들이 우선 '신중 모드'에 접어든 것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그동안 대전협이 여러 차례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대위 체제 전환 외에 구체적인 '액션 플랜'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정부가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법과 원칙에 따른 '강경 대응' 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박테리오파지 DNA 이용해 치명적 항생제 내성균 잡는다"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미국 연구진이 세균에 침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조작해 박테리아에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치명적인 항생제 내성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에리카 하트만 교수팀은 미국 미생물학회(ASM) 학술지 미생물학 스펙트럼(Microbiology Spectrum)에서 박테리아에 박테리오파지 DNA를 투입해 내부로부터 세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치명적인 병원균의 하나인 녹농균에서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를 질병 치료에 이용하는 '파지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 연구 결과는 바이러스 DNA를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를 죽이는 새로운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말했다. 항균제 내성 박테리아 증가는 전 세계 보건에 시급하고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매년 약 300만 건의 슈퍼박테리아 감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3만5천여 명이 사망하고 있다. 하트만 교수는 "박테리오파지는 여러 면에서 미생물학의 '마지막 미개척지'지만 이를 이용한 파지 치료는 항생제 의존도를 낮출 수 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