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오미크론 치명률 0.16%…인플루엔자 0.1% 보다 조금 높아

오미크론 감염자 9천860명 조사 결과
치명률, 델타 변이의 5분의 1 수준…오미크론 환자 0.11% 위중증
오미크론 첫 감염자 확인 8주만에 우세종…델타는 우세종화에 14주 걸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치명률이 델타 변이 감염자 치명률의 5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은 계절성 호흡기 질환으로 토착화된 인플루엔자보다는 조금 높은 수준이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4일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 9천8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치명률이 0.16%로, 델타 변이 감염자 치명률(0.8%)의 5분의 1 수준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중 사망자는 6명으로, 모두 '감염 취약층'으로 꼽히는 60대 이상이었다. 90대와 70대가 각 2명이고 80대와 60대가 각 1명이었다.

 감염자 중 사망자는 0.06%이지만, 연령 분포 차이를 보정해 표준화한 치명률은 0.16%로 계산됐다.

 이는 델타 변이 치명률(0.8%)의 5분의 1수준이다. 그동안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캐나다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치명률이 델타 변이 감염자 치명률의 4분의 1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었는데, 이보다 낮다.

 2020년 유행했던 코로나19 비(非)변이 바이러스는 치명률이 1∼2% 정도였다.

 다만 이번 조사에서의 사망자수는 '역학적 관련자'까지 합하면 10명으로 늘어난다. 역학적 관련자란 오미크론 감염 사실이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역학조사 결과 감염이 강하게 의심되는 사람이다.

 역학적 관련자를 포함한 10명의 사망자 중 3차접종자는 1명 뿐이었다. 1차접종자가 1명, 2차접종자가 5명이었고, 미접종자는 3명이었다.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 중 위중증 환자는 모두 11명(0.11%)으로 70대 5명, 80대 3명, 60대·40대·10세 미만 각 1명이었다.

 방대본은 인플루엔자의 치명률을 0.1%로 추정했는데,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보다 겨우 0.06%포인트 높았다.

 미국이나 유럽 등 오미크론 변이가 이미 우세종으로 자리를 잡은 지역에서 확진자 증가세가 꺾이면서 코로나19가 풍토병으로 굳어지는 엔데믹을 향해 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데, 이처럼  낮은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이 이런 예상을 뒷받침한다.

 방대본은 다만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으로 인해 고위험군 확진자가 증가하면 위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중증·사망자 규모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단기간 내 대규모 유행이 발생한다면 개인중증도는 낮아도 사회적 피해 규모는 증가할 것"이라고 경계했다.

 방대본은 국내와 해외 현황을 종합하면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이 델타 변이에 비해 2배 이상 높다고 보고 있다.

 전파력을 시사하는 기초감염재생산지수는 비변이가 2∼3 수준이었으나, 오미크론의 경우 10 이상으로 전파력이 빨라지고 있다.

 한편,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의 코로나19 백신 접종력을 보면 2차접종을 마친 사람이 4천774명(48.4%)으로 가장 많았고 3차접종자도 1천254명(12.7%)이나 됐다.

 3천624명(36.8%)은 미접종자(접종력 확인 불가 사례 포함)이고, 나머지 208명(2.1%)는 1차접종자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천358명(23.9%)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천900명(19.3%), 40대 1천674명(1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방대본은 이달 셋째 주(1.16∼22) 국내 확진자의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50.3%으로 증가하면서, 이 변이가 우세종이 됐다고 평가했다.

 국내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감염자가 처음 나온 지난달 첫째 주에는 0.2%였으나 이달 들어 매주 12.5%→26.7%→50.3%로 2배씩 증가했다.

 앞서 델타 변이가 국내에서 우세종이 된 것은 지난해 7월 4주차(검출률 61.5%)로 지난해 4월 29일 국내에서 첫 델타 변이 감염자가 확인된 뒤 14주가 소요됐는데, 오미크론의 경우 지난달 1일 첫 감염자가 확인된 지 8주만에 우세종이 된 것이다.

 해외유입 확진 사례에서는 97.5%가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다.

 권역별 검출율을 보면 호남권이 82.3%로 가장 높았고 경북권이 69.6%, 강원권 59.1%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