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얼마나 마시면 좋을까?...고혈압,당뇨 환자 수분 부족하면 불리

 "하루에 물 8잔씩, 2ℓ를 마셔야 건강에 좋다."

 많은 사람이 이렇게 알고 있는데요. 이 주장이 70여년전 미국의 연구결과를 잘못 해석한 데서 비롯됐다고 합니다.

 해당 주장은 1945년 미국 국립연구협의회 식품영양위원회(Food and Nutrition Board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연구결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는 게 중론입니다.

 이 기관은 모든 추천된 음식의 1 칼로리에 대해 1 밀리리터의 액체(liquid)를 섭취하라고 조언했는데요. 즉 2천 칼로리 음식을 먹는 여성은 2ℓ의 액체, 2천500 칼로리의 음식을 먹는 남성은 2.5ℓ의 액체를 섭취하라는 것입니다.

 이는 대부분 종류의 음료수를 포함하는 물 뿐만 아니라 최대 98%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과일과 채소를 그만큼 섭취하라는 의미입니다.

 1974년 영양학자들인 마거릿 맥윌리엄스와 프레더릭 스테어가 공저해 출간한 '양호한 건강을 위한 영양'(Nutrition for Good Health)이라는 책도 평균적인 성인은 하루 6∼8잔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했는데요.

 그러나 이들 저자는 여기서 말하는 물이 채소와 카페인 음료, 청량음료, 심지어는 맥주까지 포함할 수 있다고 썼습니다.

 특히 한국인들은 미국인들에 비해 과일과 채소 섭취량이 더 많아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수분량이 1리터에 달하는데요.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하루에 마셔야할 물의 양은) 음식을 통한 것과 따로 마시는 물 모두를 포함한 것"이라며 "보통 수분을 음식으로 섭취하는 게 1리터 이내라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2ℓ 가까이 되는 수분을 전부 순수한 물로 섭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죠.

 물은 우리 몸의 60∼70%를 차지하는 필수 구성요소인데요.

 물을 적게 마시면 당장 신체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지만, 지속되면 만성탈수 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심경원 이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수분이 부족하면) 혈액순환이라든지 신진대사, 소화활동, 효소활동 등이 제한 받으니까 아무래도 장기적으로 이런 상태가 지속하면 만성탈수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심 교수는 "고혈압, 당뇨병 등도 수분이 부족하면 아무래도 혈액내 당수치라든지 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불리한 건 사실"이라고 부언했습니다.

 또한 물 섭취가 부족해 소변이 농축되면 소변 속에 있는 칼슘, 요산 등이 뭉쳐져 결석이 발병할 위험이 높아지는데요. 체내수분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들을 체크하면서 물을 보충해주는 게 좋습니다.

 물은 얼마나 마셔야 적당할까요?

 사람마다 체중과 연령이 다른 만큼, 물 섭취기준도 몸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하는 게 중요합니다.

 2020년 한국영양학회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성은 청소년기부터 74세까지 하루 900mℓ 이상, 여성은 600∼800mℓ 섭취해야 충분한 정도가 됩니다.

 또 전문가들은 물을 충분히 마시되, 한 번에 많이 마시지 말고 나눠서 마실 것을 권고하는데요.

 특히 여름철이나 격렬한 운동 후 짧은 시간에 물을 과하게 섭취하면 저나트륨증이 발생해 두통, 구역질, 현기증, 근육경련 뿐만 아니라 뇌장애를 일으켜 의식장애와 발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강 교수는 "하루에 1.5리터를 마시더라도 짧은 시간에 굉장히 많은 양의 물을 마시면 체액의 전해질 균형이 깨질 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물 섭취를 제한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간경화, 신부전증, 심부전증과 같은 질환이 있는 환자는 과도한 수분 섭취가 오히려 복수, 폐부종, 전신부종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