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환자 60%가 60∼70대…"흡연·금주 관리해야"

1인당 진료비 평균 1천339만8천원…"흡연·금주, 생활습관 관리해야"

 초기 증상이 잘 발견되지 않아 치료가 까다로운 췌장암 환자 10명 중 6명이 60∼70대 연령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췌장암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만818명이었다.

 이 중 60대가 30.1%(6천265명)로 가장 많았고, 70대도 29.7%(6천190명)를 차지해 60∼70대만 전체 췌장암 환자의 59.8%에 달했다.

 이어 80대는 16.6%, 50대 15.5%, 40대 5.1%, 30대 1.8%, 20대 0.7%, 10대 및 9세 이하가 0.4% 순이었다.

 전체 진료 인원은 2016년 1만6천86명에서 2020년 2만818명으로 29.4%(4천732명)가 증가했다.

 남성의 경우 60대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32.3%로 가장 높았고, 70대 30.1%, 50대 17.2% 순이었다. 여성은 70대가 29.4%, 60대 27.8%, 80세 이상이 20.3% 순으로 나타났다.

 이진호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간담췌외과 교수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매년 췌장암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고령화와 함께 비만이나 당뇨 또는 흡연 인구가 증가하고, 영상학적 진단을 통한 췌장암 진단이 보편화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췌장암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1천515억 원에서 2020년 2천789억 원으로 2016년 대비 84.1%(1천274억원)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16.5%다.

 1인당 진료비는 2016년 941만8천원에서 2020년 1천339만8천원으로 42.3% 증가했다.

 췌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가장 유력한 환경적 요인은 흡연이었다. 췌장암 환자 20∼25%가 흡연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형·2형 당뇨를 오래 앓아온 환자도 췌장암 발생 위험이 높으며, 일부 환자는 췌장암으로 인해 당뇨가 발생하기도 한다. 비만이나 만성췌장염 등도 위험인자로 여겨진다.

 췌장암 초기 단계에서는 이를 의심할 수 있는 명확한 증상이 없어 병기가 진행된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초기 췌장암 증상으로 체중 감소나 등 부위 통증, 복통, 구토, 소화불량, 당뇨, 복부 팽만감이나 배변 습관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췌장암은 주로 수술과 수술 전·후 항암치료를 받게 되지만, 조기 진단법이 없어 환자 2명 중 1명은 이미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가 진행된 이후에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5∼2019년 주요 암종별 5년 상대생존율을 보면 췌장암은 이 비율이 13.9%로 다른 암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5년 상대생존율은 유방암 93.6%, 위암 77.5%, 대장암 74.3%, 간암 37.7%, 폐암 34.7%로, 전체 암 환자로 보면 70.7% 수준이다.

 이 때문에 췌장암 진단 이후 절제가 가능하다면 적극적으로 수술 및 항암 치료를 받는 것이 권고된다.

 이 교수는 "췌장암을 예방할 수 있는 뚜렷한 예방법은 없지만,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흡연·음주를 줄이거나 중단하는 것이 좋다"며 "고지방, 고칼로리 식이를 피해 비만을 방지하고, 주기적 운동으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녀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