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4일 조간)

▲ 경향신문 = '대통령 친구' 이종석 후보자, 헌재 독립·보수화 우려된다

노동시간 개편 원점 회귀, 정부 '탁상 노동 개혁' 사과해야

미국도 신중한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서둘 이유 뭔가

▲ 국민일보 = '주 69시간' 철회 수순…노동 개혁, 탁상공론으로 안돼

한·미 SCM서 합의한 '확장억제 강화'는 선택 아닌 필수

▲ 서울신문 = 근로 시간 유연제, 소통 강화해 흔들림 없이 추진을

글로컬 시대 개척해 나갈 거점대학 되기를

동맹 70년, 대북 확장억제 실행력 높인 한미

▲ 세계일보 = 한·미 국방비전, '北=공동 위협' 명시…결속 더 강해진 동맹

이재명 '위증교사' 사건 별도 재판, 신속하게 결론 내야

노사로 떠넘긴 근로 시간 유연화, 노동 개혁 후퇴 안 된다

▲ 아시아투데이 = 657조원 예산전쟁, 법정기한만큼은 준수해야

탄핵·쌍특검, 막장 국회에 멍드는 민생정치

▲ 조선일보 = "위증 교사 사건, 대장동과 분리 재판" 당연한 결정이다

국민 국회 농락한 '위장 탈당' 의원이 내로남불 정치 훈계

기득권 내려놓고 변화하겠다는 대학들 나오고 있다

▲ 중앙일보 = 뉴욕타임스가 우려한 한국의 '가짜뉴스 척결' 논란

한·미 '맞춤형 억제 전략' 개정…강건한 북핵 방어막 되길

▲ 한겨레 = 방심위 직원들도 "월권" 반발, '가짜뉴스 심의' 중단해야

여당 R&D 예산 보완, 대통령 사과하고 '복원 시늉' 아니게

국민 원치 않는데, 노동시간 유연화 기어이 추진하나

▲ 한국일보 = 근로 시간 개편안 사실상 폐기…현실 벗어난 개혁 교훈 삼길

심상치 않은 전셋값 상승…위기 차단 선제적으로

국방협력 인·태로 확대한 한미, 한반도 안보 빈틈없어야

▲ 디지털타임스 = 기업 파탄 낼 노란봉투법, 거부권 행사 당연하다

검사 탄핵 이어 '좌표찍기'…이재명 수사 말라는 행패 아닌가

▲ 매일경제 = 野 또 검사 실명 공개해 좌표찍기…인민재판 하겠다는 건가

8개월 끌더니 근로 시간 개편 맹탕, 이래서 노동개혁 되겠나

3조 투입 글로컬대학, 돈 잔치만 벌이면 사업비 환수해야

▲ 브릿지경제 = 아파트 공공보행통로, 법적 근거 완비해야 한다

▲ 서울경제 = 한미, '北 하마스식 기습' 응징할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하라

반도체 수출도 플러스…기술 초격차 적극 투자로 속도 내야

불굴의 뚝심과 정교한 준비로 노동 개혁 일관되게 추진하라

▲ 이데일리 = 전세 사기 피해 70%가 2030…미래세대 약탈 근절해야

산업생태계 붕괴 뻔한 노란봉투법, 거부권 행사 옳다

▲ 이투데이 = "노란봉투법 대통령 거부권을" 경제계 절규 들어야

▲ 전자신문 = 해외 게임사 국내 대리인 지정해야

근로 시간 개편, 정부 실행 의지 보여줘야

▲ 한국경제 = 미국에 대한 무디스의 경고…한국이 더 걱정스러운 이유

법인세 4단계 누진 과세가 이미 횡재세다

근로 시간 유연화, 노동자에겐 이만한 민생 대책이 없다

▲ 대한경제 = '빵 서기관' 부활은 땜질 처방, 재정·통화정책 어우러져야

한발 물러선 근로 시간 개편방안, 현명한 선택이다

▲ 파이낸셜뉴스 = 노란봉투법에 거부권 행사해 기업·기업인 살려야

일부 직종이라도 근로 시간 유연제 관철하길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