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량 섭취 20~40% 줄여도…"운동량·체중 거의 안 줄어"

생쥐 실험서 확인…"다이어트가 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열량 섭취 제한은 평소 운동량이나 체중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생쥐 실험 결과 먹이를 20~40% 줄여도 운동량이나 체중은 거의 줄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 리버사이드) 시어도어 갈런드 교수팀은 11일 과학 저널 '생리학 및 행동'(Physiology & Behavior)에서 자발적으로 운동을 하게 사육된 생쥐의 먹이를 20~40% 줄이며 관찰하는 연구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다이어트가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소진하게 시킨다는 통설과 배치된다며 건강 등을 위해 열량 섭취를 조절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먹이를 40% 줄인 경우에는 HR 생쥐만 하루 달린 거리가 1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HR 생쥐가 평소 달리는 거리가 일반 생쥐의 3배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이 같은 감소 폭은 미미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체중은 HR 생쥐가 2.6%, 일반 생쥐가 2% 감소해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사람의 경우 다이어트를 할 때 체중의 약 4%가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는 실험 생쥐의 체중 감소 폭과 같은 범위라고 설명했다.

 갈런드 교수는 "먹이 양을 20%에서 40%까지 줄였는데도 생쥐들의 자발적인 운동량은 거의 줄어들지 않았다"며 달리기가 뇌의 도파민 등 호르몬 수치를 높여 먹이를 적게 먹고도 계속 달리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음식 섭취를 40%나 줄였는데도 체중이 별로 줄지 않는다면 몸에 어떤 다른 변화가 있어야 한다"며 "다른 유형의 활동이 감소하거나 어떤 측정되지 않는 신진대사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어떤 사람들은 운동을 좋아하고 어떤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앞으로 자발적 운동량과 체중이 열량 섭취 제한에 영향을 적게 받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출처 : Physiology & Behavior, Theodore Garland Jr. et al., 'Effects of food restriction on voluntary wheel-running behavior and body mass in selectively bred High Runner lines of mice',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31938424001276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농진청 "치유농업, 조현병·우울 고위험 환자 치료에 효과 입증"
농촌진흥청은 약물 중심인 기존 정신질환 치료를 보완할 수 있는 비약물적 심리 지원 기술인 치유농업의 효과를 의료기관 현장 실증을 통해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치유농업은 농업·농촌 자원을 활용해 신체적,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 활동이다. 이번 실증은 국립정신건강센터, 전북특별자치도 마음사랑병원, 신세계병원에서 2023년 9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입원·외래진료 환자 17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참여자를 두 집단으로 나눠 한쪽은 기존 치료만, 다른 쪽은 기존 치료와 더불어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주 1회, 총 10∼12회 병행했다. 농진청 연구진은 조현병 환자와 우울 고위험군을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2종을 개발했다. 조현병 환자를 위한 '긍정심리모형(모델) 프로그램'은 식물을 재배·관리하는 과정에서 몰입과 행복감 등의 정서를 회복하고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도록 구성했다. 현실을 인식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심각하게 왜곡되는 정신질환인 조현병은 주로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정신병리증상이 나타난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치유농업을 병행한 조현병 환자군은 기존 약물치료 중심의 병의원 치료만 받은 집단보다 음성증상이 10% 감소했고, 일반정신병리증상도 23% 감소한

메디칼산업

더보기
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사회공헌활동 강화하는 제약업계
제약 기업이 업계 장점을 살린 사회공헌활동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재난 현장에 의약품을 기부하거나 특정 질환에 대한 인식 제고 캠페인을 진행하고 타 업계와의 협업에도 적극 참여하는 모습이다. 제약업계는 최근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 지원에 일제히 동참했다. JW중외제약과 일동제약은 각각 1억원, 6천만원 상당의 성금과 의약품 등을 기부했다. 휴온스그룹은 3억원을 전달했다. 유한양행은 산불로 화상을 입은 동물 치료를 지원한다. 동물구조단체 '위액트'에서 산불 피해 동물을 동물의료센터로 이송하면 유한양행이 협력사 리센스메디컬과 함께 화상 치료에 효과가 있는 의료기기 등을 제공한다. 희귀질환 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환자 지원에도 한창이다. SK플라즈마와 JW중외제약은 17일 세계 혈우인의 날을 기념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양사는 각각 혈우병 환우를 위한 헌혈을 실시하고 여성 혈우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영상을 제작했다. 한독은 2월 세계 희귀질환의 날을 맞아 한국혈액암협회에 헌혈증 450장을 기부했다. 전달된 헌혈증은 수혈이 필요한 희귀질환 및 혈액암 환우를 위해 사용된다. 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협업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대웅제약은 한국건강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