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모넬라 식중독 예방법<br>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00833/art_15971233409627_6af8df.jpg)
(수원=휴먼메디저널) 최은경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살모넬라 식중독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므로 주의해 달라고 11일 밝혔다.
살모넬라 식중독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했을 때 걸릴 수 있으며 복통과 설사, 구토,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2015∼2019년 5년간 살모넬라 식중독 환자 발생 현황을 보면 환자 5천23명 중 3천750명(75%)은 8∼9월에 나왔다.
살모넬라 식중독을 일으킨 주요 원인 식품은 달걀과 케이크 등 달걀을 원료로 쓴 가공식품이 꼽힌다.
지난 5년간 전체 환자 수의 65%에 해당하는 3천287명이 이런 난류와 난류 가공품을 먹고 살모넬라 식중독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김밥 등 복합조리 식품을 먹은 환자가 369명(7%), 육류 섭취 환자가 243명(5%) 등이다.
식약처는 살모넬라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달걀과 육류를 조리할 때 충분히 가열(중심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달걀 등 난류를 살 때는 껍질에 균열이 없으면서 냉장으로 보관된 것을 구매하고 산란 일자도 확인해야 한다.
난류와 육류를 구매한 뒤 집으로 가져올 때는 아이스박스나 아이스팩을 이용해 가급적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 가정에서는 난류와 육류를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아울러 교차 오염 방지를 위해 육류와 난류는 생채소 등과 직접 닿지 않게 관리하고 칼과 도마 등 조리기구도 육류 전용으로 구분해서 쓰는 게 좋다.
난류와 육류를 만진 뒤에는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