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60대 이상 흡연자의 폐암 발생 위험이 20대에 비해 68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14일 '국내 흡연자의 폐암,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도 평가 결과' 발표하고 흡연기 간이 긴 연령에서 폐생 발생 위해도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폐암 발생 위해도는 20대 1%, 30대 10%, 40대 16%, 50대 42%, 60대 이상 68%로 나타났다.
위해도는 독성물질이나 위험 상황에 노출돼 개인이나 집단이 건강상 피해를 입게 될 확률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민의 흡연 습관과 니코틴 대사율 등을 반영한 모델을 통해 추정한 값이다.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해도는 20대 2%, 30대 6%, 40대 10%, 50대 24%, 60대 이상에서 41%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청은 "흡연 기간이 짧을수록 암에 걸릴 위험이 낮아지므로 하루라도 빨리 금연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