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서 미세플라스틱 섭취량, 건강우려 수준 아냐"

  • 등록 2022.03.11 18:05:23
크게보기

식약처, 식품 통한 인체노출량 조사…"해조·조개류 세척·해감으로 상당량 제거"

 우리나라 사람은 음식을 섭취하면서 하루 16.3개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 정도의 미세플라스틱으로는 건강상 위해가 되지 않는다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분석했다.

 미세플라스틱은 인위적으로 제조됐거나,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등이 미세하게 분해돼 만들어진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식약처는 국내 유통 중인 해조류, 젓갈류, 외국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보고된 식품 등 11종, 102품목을 대상으로 2020∼2021년 미세플라스틱 오염도와 인체 노출량을 조사했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 오염도와 식품 섭취량을 토대로 계산했을 때 식품을 통한 미세플라스틱 섭취량은 1인당 하루 평균 16.3개였다.

 식약처는 지금까지 알려진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정보로 분석할 때, 이 정도의 섭취량은 건강상 영향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2019년 식약처에서 하루 6만개의 미세플라스틱을 28일간 경구투여하는 동물실험을 한 결과 독성학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계식량기구(FAO)도 조개류를 통한 미세플라스틱 하루 섭취량은 1∼30개로 추정되지만 유해한 영향이 나타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주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이었다.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검출된 제품은 젓갈로 1g당 6.6개가 나왔으며, 최소 검출 제품은 액상 차로 1㎖당 0.0003개 수준이었다.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대부분 300㎛ 미만의 크기였으며, 45∼100㎛ 사이의 미세플라스틱이 가 장 많았다.

 식약처는 조리 전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를 세척하고, 바지락 등 조개류를 해감하면 미세플라스틱의 상당량을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역과 다시마 제품 50g을 2회 세척한 결과 다시마에 붙어 있던 미세플라스틱은 1g당 4.85개에서 0.75개로 85% 감소했고, 미역도 4.2개에서 1.2개로 71% 줄었다.

 바지락의 미세플라스틱은 30분 이상 소금물에 해감하면 90% 이상이 제거됐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 섭취로 인한 미세플라스틱 인체 위해성을 계속 평가하고, 환경부·과기부 등 관계부처와 미세플라스틱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