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치아상실 방치하면 치매위험 높아"

  • 등록 2022.10.04 07:37:43
크게보기

연세대 치과대학 "임플란트·보철 치료로 저작기능 살려야"

  노년기에 빠진 치아를 복구하지 않아 저작 능력에 문제가 생기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차재국·박진영·고경아 교수 연구팀은 2014∼2020년 치과 진료를 받은 60세 이상 488명을 치매군(122명)과 치매가 없는 대조군(366명)으로 나눠 치아 상실이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그룹의 저작 능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소실된 치아 개수를 조사했다. 그 결과 치매군 평균 소실 개수는 6.25개로 대조군(4.53개)보다 많았다.

 발치 후 복구하지 않고 치아의 빈 곳을 그대로 방치한 비율도 치매군(56.48%)이 대조군(42.6%)보다 높았다. 반면 임플란트·보철 등으로 치아가 빠진 곳을 메워 저작 능력을 보존하는 치료를 받은 경험은 대조군(77.48%)이 치매군(66.56%)을 상회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임플란트나 의치 치료 등으로 저작 능력을 유지해주면 뇌 기능을 향상하는 뇌 혈류가 증가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기존 보고와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차재국 교수는 "노화에 따라 자연 소실,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기 쉽지만 그대로 방치하면 음식을 잘 씹지 못하게 된다"며 "저작 능력 저하와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가 확인된 만큼 빠진 치아가 있다면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 등으로 저작 능력을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연세의학저널(YMJ)' 최신호에 발표됐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