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서 반찬 재사용.…식중독·장염 우려

  • 등록 2023.06.18 14:59:55
크게보기

  '먹다 남은 김치로 끓인 국', '남이 손댄 나물로 차린 밥상'

 최근 몇몇 음식점에서 손님이 남긴 반찬을 재사용해 논란이 됐습니다.

 반찬을 재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우선 재사용한 음식물은 식중독이나 장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손님상에 한 번 나간 반찬은 타액이 묻은 채 상온에 오래 노출되게 되고, 이후 다른 손님에게 가는 과정에서 부패해 식중독과 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균이 자라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요즘 같은 더위엔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크죠.

 또 재사용한 반찬을 먹으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최용훈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위액 속에 있는 헬리코박터가 역류성 식도염이 있다든지 하는 경우, 구강 내에까지 올라올 수 있고 그게 음식을 통해 다른 사람에 전파되는 것도 가능하다"면서 "음식을 가열해 먹는다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위험성을 100%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궤양 같은 소화성 궤양과 만성 위염의 원인인데요.

 만성 위염이 계속되면 위암에 걸릴 위험도 커지죠.

 특히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4∼5명이 이 균을 지니고 있어 감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반찬 재사용은 많은 위생 문제를 야기해 엄연히 불법인데요.

 하지만 푸짐하게 밑반찬을 제공하는 우리 식문화에서는 잔반이 많이 나오고, 주인 입장에선 남은 음식을 버리기 아까울 수 있습니다.

 최근 논란된 반찬 재사용 식당 역시 손도 안 댄 반찬을 버리기 아까워 재사용했다고 밝혔죠.

 과거 일부 지자체에선 남은 음식을 포장해주는 캠페인을 벌여 주인도 손님도 자발적으로 잔반을 재사용하지 않는 데 동참하도록 했죠.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식재료값 상승으로 영업주들이 영업수지의 압박을 많이 받는데, 손도 안 댄 반찬은 위생적이라고 안이하게 생각하시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남은 음식 포장 캠페인을 언급하며 "미리 제공할 수 있는 반찬 가짓수를 보여주고 불필요한 거는 빼게끔 하는 것들도 또 하나의 방법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