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세 58%가 영구치 충치…코로나로 점심 칫솔질 확 줄었다

  • 등록 2023.06.23 07:32:16
크게보기

2021∼2022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충치 평균 1.94개

 만 12세 아동의 58%는 영구치에 충치가 있거나 충치 치료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구강건강 수준은 최근 10여년간 크게 나아지지 않고 정체하는 모습이다.

 23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5∼10월 만 5세와 만 12세 아동 총 2만7천15명을 대상으로 구강 검진과 설문을 한 결과 12세 아동의 영구치 우식(충치) 경험자율은 58.4%였다.

 이는 직전 조사인 2018년 조사 때보다 2%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10명 중 6명꼴로 현재 충치가 있거나 충치 치료 경험이 있다는 것이다.

 12세 아동의 충치 경험자율은 첫 조사 때인 2000년 77.1%에서 2006년 61.1%, 2015년 54.6%로 감소하다가 이후 다시 조금씩 늘었다. 이번 조사에서의 수치는 10년 전인 2012년(57.3%) 수치보다도 조금 높다.

 충치를 경험한 영구치의 개수는 1인당 평균 1.94개로, 역시 직전 조사에서보다 0.1개 늘었다.

 다만 현재 충치를 보유한 우식 유병자율은 2000년 42.0%, 2003년 49.8%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6.9% 수준까지 떨어졌다.

12세 58%가 영구치 충치…코로나로 점심 칫솔질 확 줄었다 - 2

 아직 영구치가 나기 전 유치(젖니) 단계인 만 5세 아동의 경우 우식 경험자율은 66.4%였고, 우식 경험 유치 개수는 평균 3.4개였다.

 연구책임자인 마득상 전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회장은 "2010년 이후 우식경험 지표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경제 수준· 지역간 격차 등 건강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영유아 시기부터 치아우식의 위험요인 관리를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시기인 2022년 이뤄진 것이어서 코로나19가 구강건강관리에 미친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점심식사 후 이를 닦는 만 12세 아동의 비율은 2006년 16.9%에서 2018년 33.3%로 줄곧 상승해왔으나, 이번 조사에선 15.2%로 뚝 떨어졌다.

12세 58%가 영구치 충치…코로나로 점심 칫솔질 확 줄었다 - 3

 코로나19 기간 감염 우려 탓에 학교에서 칫솔질을 할 수 없었던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최근 1년간 치과진료를 받은 비율도 61.0%로 2018년(71.0%)보다 10%포인트 낮아졌다. 경제상태 '하' 그룹(52.4%)은 '상' 그룹(65.2%)보다 12.8%포인트 낮았다.

 치과 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함에도 진료를 받지 못한 비율은 17.7%였는데, 이 역시 경제상태 '하' 그룹(29.3%)이 '상' 그룹(15.3%)의 2배 수준이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코로나19 유행에서도 구강건강수준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치과진료 수진, 칫솔질 실천 등 구강건강 관리행태는 악화했다"며 "구강건강에 단기적 영향을 미치진 않을 수 있으나 향후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