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첫주 '세계모유수유주간'…성공적인 모유수유 비법은

2023.08.01 08:21:46

모유량 부족한 경우는 5% 불과…초기 모유수유 방법이 중요
'수유정보알리미'서 모유수유정보·수유시설·교육일정 확인 가능

 아기와 엄마의 건강을 위해 모유수유를 희망하는 여성들이 많다. 모유를 먹은 아이는 질병에 강하며, 모유를 먹으며 듣는 엄마의 심박동수와 목소리는 아기를 편안하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 수유 시 분비되는 호르몬 옥시토신은 자궁을 빨리 회복시킨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8월 1~7일을 세계모유수유주간으로 정해 모유수유를 권장하고 있다.

 1일 보건복지부의 '2021년 산후조리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산모의 85.2%가 임신 기간 모유수유를 계획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산모가 모유수유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24시간 이내 모유수유를 시도한 산모의 비율은 58.5%에 불과했다. 수유를 시도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는 '모유부족'(36.8%)이 꼽혔다.

 그러나 복지부의 '수유정보알리미(www.sooyusil.com)'를 보면 우리나라 산모 중 원래부터 모유량이 부족한 경우는 5%가 채 되지 않는다. 모유량 부족의 대부분은 초기에 모유수유를 하지 못한 것이 이유다.

 수유정보알리미는 이런 모유수유에 대한 정보를 공공장소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수유시설의 위치정보, 보건소 모유수유 교육 일정 등과 함께 제공한다.

 이 사이트에 따르면 신생아 시기에는 모유만 먹는다면 한 번에 20∼30분, 하루에 10∼12회 정도가 적당하다. 아기의 소변횟수가 하루에 6∼8회이고 몸무게가 계속 는다면 충분히 먹고 있다는 신호다.

 모유를 거부하는 아기에게 억지로 먹이게 되면 모유가 '싫은 것'으로 각인되므로, 아기가 배고프기 시작할 때 기분 좋게 젖 먹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유수유 중 조심해야 할 음식은 무엇일까? 알코올은 하루에 수유모의 체중 1㎏당 0.5g 이하가 권장량이다. 체중이 60㎏라면 맥주 2캔 또는 와인 2잔 이하다.

 임산부의 카페인 권장량은 300㎎ 이하다. 수유정보알리미에 따르면 하루에 커피 1∼3잔 정도는 괜찮다.

 산모는 일반적으로 수유 중 하루에 500칼로리가 더 필요하므로, 균형잡힌 식단으로 충분히 칼슘·철분 등의 영양소를 섭취해야 한다.

 한약을 포함한 약은 반감기 등 모유를 통한 전달여부를 고려해 복용 여부를 정해야 한다. 따라서 전문의와의 상담 후 처방받아야 한다.

 미숙아를 낳은 산모는 최대한 자주 아기와 접촉하고, 양이 적더라도 모유를 미리 짜두었다가 주는 것이 좋다. 아이의 상태가 좋아지면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직접 수유한다.

 쌍둥이 산모는 일반적으로 모유가 더 많이 분비된다. 수유 시에는 두 아기를 한꺼번에 먹이는 게 더 좋다. 더 많이 모유를 먹여야 하는 만큼 영양소와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소량의 음식을 자주 먹어야 한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