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무릎 염증 환자 300만명 넘어…"무릎 주변 근력 키워야"

2023.09.07 10:13:35

환자 35%가 60대…여성 환자가 남자의 2배 이상

 무릎에 염증이 발생해 연골이나 관절막 등에 통증이나 기능장애가 생기는 무릎관절증으로 작년 한 해 3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진료받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7일 발표한 '2018∼2022년 무릎관절증 환자 진료인원'에 따르면 작년 무릎관절증 환자는 306만5천603명으로, 2018년 287만4천179명에 비해 6.7%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1.6%다.

 작년 여성 환자는 209만8천638명으로 남성(96만6천965명)보다 배 이상 많지만, 2018년 대비 증가율은 남성(12.4%)이 여성(4.2%)보다 컸다.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3.0%)이 여성(1.0%)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60대가 작년 전체 진료인원의 35.3%(108만2천826명)로 가장 많았다. 70대 26.8%(82만114명), 50대 16.9%(51만8천801명)로 뒤를 이었다.

 무릎관절증 환자의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는 2018년 1조5천127억원에서 2022년 1조8천898억원으로 4년 새 24.9%(3천771억원) 늘었다. 작년 기준 1인당 진료비는 61만6천원이었다.

박 교수는 "체중을 줄이고 무릎에 부하가 덜 가는 운동을 지속해 주변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무릎관절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며 "쪼그려 앉거나 경사지를 오르내리는 것보다는 평지를 걷고 수영이나 물에서 걷기, 실내 자전거 등을 이용한 근력 운동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또 "무릎관절증 초기에는 약물치료, 찜질, 스트레칭 등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병원에 방문해 빠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