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건강, 두경부암 생존율에 영향"

2023.09.27 07:46:47

 구강 건강이 두경부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두경부암이란 뇌 아래와 가슴 윗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구강암, 비인두암, 구인두암, 후두암, 설암 등이 이에 속한다. 두경부암은 복잡한 암이라 5년 생존율이 45%에 불과하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종합 암센터의 제이슨 타술라스 교수 연구팀이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 총 2천449명이 대상이 된 4건의 연구 논문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 자료에는 두경부암 진단 이전 10년 동안의 치주질환, 칫솔질 빈도, 구강세정제 사용, 남은 자연치아의 수, 치과 진료 횟수 등에 관한 자료가 포함돼 있었다.

 이에 비해 진단 전 치과 진료를 한 번도 받지 않은 환자는 5년 생존율이 54%, 10년 생존율이 32%였다.

 치과 진료 횟수와 생존율 사이의 연관성은 두경부암 중에서 구인두암이 가장 두드러졌다.

 치과 진료를 자주 받은 환자일수록 치료 진료를 전혀 또는 거의 받지 않은 환자보다 두경부암이 덜 치명적인 초기 단계에서 진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두경부암 진단 전 남아있는 자연 치아가 하나도 없는 환자는 자연치아가 20개 이상 남아있는 환자보다 5년 생존율이 15% 낮았다.

 잇몸 출혈, 칫솔질 빈도, 구강세정제 사용은 생존율의 차이가 5% 미만으로 통계학상 별 의미가 없었다.

 전체적인 결과는 구강 건강 관리가 두경부암 방사선 치료의 심각한 부작용 중 하나인 방사선 골괴사를 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두경부암의 독립적인 예후 인자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두경부암 생존율은 연령, 성별, 인종, 거주지역, 종양 발생 부위, 병기, 교육 수준, 흡연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 암 연구소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