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당뇨 노출 아이, 나중에 비만 위험"

2023.11.03 07:22:16

 임신성 당뇨 노출이 태어난 아이의 뇌 발달과 비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 여성의 약 3~9%에서 임신 24~28주에 나타나는 임신성 당뇨는 원래 당뇨병이 없던 여성이 임신 중 당뇨병이 발생한 것으로 방치하면 임신중독증인 자간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산모와 태어난 아이 모두 나중 당뇨병 발생 위험도 커진다.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 의대 내분비내과의 뤄산(Shan Luo) 교수 연구팀이 '청소년 뇌 인지 발달'(ABCD)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임신성 당뇨에 노출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대뇌 피질의 총(total)회색질 용적이 현저히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 대상이 된 아이들은 8천521명(평균연령 9.9세, 남아 51.4%, 백인 56.2%, 히스패닉 19.3%, 흑인 12.5%)으로 이 중 7.2%가 임신성 당뇨에 노출됐다.

 임신성 당뇨 노출은 또한 비만 지표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성 당뇨에 노출된 아이들은 42%가 비만 또는 과체중으로 노출되지 않은 아이들의 29%보다 훨씬 많았다.

 임신성 당뇨에 노출된 아이들은 비만 지표인 체질량 지수(BMI), 허리둘레, 체중-신장 비율도 훨씬 높았다.

 대뇌 피질 총회색질 용적이 부분적으로 이러한 연관성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대뇌 피질의 회색질 용적이 작은 것은 임신성 당뇨 노출 아이의 비만을 설명하는 신경학적, 생물학적 메커니즘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임신성 당뇨에 의한 이상지질혈증, 고혈당, 염증이 뇌의 이러한 변화를 가져왔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재태 연령, 다른 임신 합병증, 출생 시 아이의 건강, 임신 중 음주/흡연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했지만, 이 결과에는 변함이 없었다.

 연구 대상이 된 아이 중 쌍둥이만을 선별해 따로 분석해봤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임신성 당뇨 노출이 태어난 아이들의 뇌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임상의들은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비만 학회(Obesity Society) 학술지 '비만'(Obesity) 최신호에 발표됐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