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노인진료비 45조8천억원, 전년보다 11%↑…의사는 2% 증가

2023.11.04 09:37:03

 노인 인구가 늘면서 지난해 우리나라 노인 진료비가 45조8천억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로 의사 인력 확충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지난해 의사는 2% 남짓 증가했다.

 3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동 발간한 '2022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작년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는 45조7천647억원으로, 한 해 전보다 10.6% 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진료비는 건강보험이 의료기관에 지불한 진료비와 환자가 의료기관에 지불한 본인부담금을 합한 것이며,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는 비급여 진료비는 포함되지 않는다.

 지난해 말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17.0%인 875만명으로 집계됐다. 1인당 진료비는 지난해 534만7천원이었다.

 지난해 노인을 포함한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는 105조8천586억원으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

 양 기관은 "지난해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가 증가한 이유는 코로나19 관련 진료비와 호흡기계 질환 진료비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지난해 전체 인구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206만원으로, 2021년보다 20만3천원 늘면서 200만원을 돌파했다.

 2022년도 연간 1인당 진료비가 500만원이 넘는 환자는 392만4천명이었다. 이들의 진료비는 53조3천136억원으로, 전체의 50.4%를 차지했다.

 작년 말 보험료부과액은 76조7천703억원으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이 가운데 직장보험료가 66조6천845억원, 지역보험료가 10조858억원이었다.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는 12만9천832원이었다. 직장보험은 14만5천553원, 지역보험은 9만5천221원이었다.

 지난해 말 의료기관과 보건기관의 인력은 45만8천956명으로, 1년 전보다 4.15% 증가했다.

 이들 중 간호사(5.79%)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의사 인력은 2.17% 증가했고, 약사·한약사는 3.04%, 치과의사는 1.80%, 한의사는 1.18% 늘었다.

 '아이 울음' 소리는 지난해에도 줄었다.

 작년 말 분만 건수는 24만6천579건으로, 전년 대비 5.76% 감소했다. 분만 기관수도 2.67% 감소해 474곳으로 집계됐다.

 2022년 말 만성질환(12개 질환) 진료실 인원은 2천62만명이었다. 고혈압(727만 명), 관절염(514만명), 정신 및 행동장애(398만명) 순으로 많았다.

 건강보험 통계연보는 통계청에 등록된 국가승인통계로, 건강보험 주요 사항을 통계로 작성해 매년 11월에 공표한다.

 지난해 연보는 건강보험 일반현황, 재정현황, 진료현황, 심사실적,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질병통계 등 총 6편으로 구성돼있다. 이날부터 양 기관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