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위험도, 간 수치 아닌 혈중 바이러스 수치가 영향"

  • 등록 2023.11.08 17:27:32
크게보기

서울아산병원 연구팀, 간암 예방률 높일 새 치료 기준 발표
"바이러스 수치 따라 간염 치료하도록 건보 급여 기준 바꿔야"

 간암 발생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간 수치가 아니라 바이러스 수치를 기준으로 B형 간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임영석·최원묵 소아기내과 교수팀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소아기분야 권위지 '거트'(GUT, 피인용지수 24.5)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성인 만성 B형 간염 환자 9천709명을 대상으로 수년간 간암 발생 위험을 추적 관찰했다.

 B형 간염은 국내 간암 원인의 70%를 차지한다.

 그 결과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당 1백만 단위(6log10 IU/㎖)인 환자의 간암 발생 위험은 치료군과 비치료군에서 모두 가장 높았다.

 반면 바이러스 수치가 1백만 단위보다 매우 적거나(1만 단위 미만) 많을수록(1억 단위 이상, ≥ 8log10 IU/㎖) 간암 발생 위험은 감소했다.

 바이러스 수치가 1억 단위 이상에서 간염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간암 발생 위험은 1백만 단위에서 치료하지 않은 환자보다 최대 6.1배 높았다.

만성 B형간염에서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관계

 따라서 간암 예방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수치가 매우 높거나 낮을 때 간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 B형 간염 건강보험 급여 기준은 바이러스 수치가 2천 단위 이상이면서 간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이어야 해서 바이러스 수치가 높아도 간 수치가 정상이면 급여를 받을 수 없다.

 임영석 교수는 "혈중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2000IU/㎖ 이상인 성인 환자는 간 수치와 관계없이 간염 치료를 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급여기준을 개정해야 한다"며 "이 경우 1년에 약 3천명의 간암 환자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