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경화증·시신경 척수염, 다른 자가면역 질환도 부른다

  • 등록 2025.05.28 06:29:21
크게보기

삼성서울병원·인하대병원 공동연구…"염증반응 세포 활성화로 면역 불균형

  다발성 경화증과 시신경 척수염 등 자가면역질환을 앓는 환자는 다른 자가면역질환이 새롭게 발생할 위험이 수십 배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민주홍 교수와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인하대병원 신경과 권순욱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다발성 경화증 및 시신경 척수염 질환 환자의 추가 자가면역질환이 발병 위험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0∼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토대로 다발성 경화증 환자 1천987명과 시신경 척수염 범주 질환 환자 2천71명을 진단 1년 뒤부터 각각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추적 관찰을 시작한 지 평균 4.5년, 시신경 척수염 범주 질환 환자는 평균 4.3년 이내에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새로 진단받았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베체트병을 진단받을 위험이 17.2배 높았다.

 시신경 척수염 범주 질환 환자는 쇼그렌 증후군을 앓을 위험이 82.6배, 전신 홍반 루푸스를 앓을 위험이 30.8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자가면역질환 발병과 진행 과정의 공통된 특성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정상적으로 면역을 조절하는 세포 대신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세포가 활성화되고, 염증 유발 물질이 분비되는 면역 불균형이 나타나면서 또 다른 자가면역질환이 발병했다는 것이다.

 민주홍 교수는 "다발성 경화증과 시신경 척수염 범주질환을 진단받은 후에도 다른 자가면역질환이 발병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비해야 한다"며 "환자를 진료할 때 관련 질환이 함께 발병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장기적인 관리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메이요 클리닉 회보'(Mayo Clinic Proceedings) 최근호에 실렸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