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이식 환자, 오존 노출 시 사망 위험↑·장기 기능↓"

  • 등록 2025.08.23 06:33:23
크게보기

연평균 오존 농도 5ppb 증가 시 사망 위험 65% 높아져

 장기이식 환자가 대기 오염 물질의 일종인 오존에 장기간 노출되면 사망 위험은 커지고, 이식받은 장기 기능은 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서울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공동 연구팀은 장기적인 오존 노출이 장기이식 환자의 생존율 등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02∼2020년 동안 국내 대학병원 3곳에서 신장이식을 받은 성인 4천796명을 대상으로, 이들 거주지의 연평균 오존과 미세먼지 농도를 파악한 뒤 예후를 추적 관찰했다.

 오존 농도가 짙어질수록 사망 위험과 이식받은 신장이 기능을 상실할 위험도 같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온이나 인구 밀도, 녹지율 등 지역사회 요인과 환자 개인의 임상 지표 등 외부 요인을 모두 보정한 이후에도 일관되게 유지됐다.

 연구팀은 면역 억제 치료를 받는 장기이식 환자의 경우 오존 농도 등 대기 오염과 기후 변화에 더욱 취약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해석했다.

 이정표 서울보라매병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주변 환경이 장기이식 환자의 예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기후변화 시대에 맞춘 맞춤형 건강관리 전략과 환경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이식학회지'(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