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연합 자료사진]](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835/art_17561177933759_efbcf6.jpg?iqs=0.7658662041914186)
2023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전체 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연금액은 약 70만원에 근접했지만, 여전히 1인 최저생계비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정년퇴직으로 소득이 끊겼지만 국민연금 수령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일명 '소득 크레바스'(소득공백) 구간인 60∼64세 연령대에서는 절반 이상이 연금소득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11종의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분석한 결과다.
2023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63만6천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90.9%였다.
이는 전년 대비 0.5%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연금 수급률은 201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개 이상 연금을 동시에 수급한 비율은 37.7%,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69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수급액은 전년(65만원) 대비 6.9% 올랐지만, 같은 해 1인 가구 최저생계비(124만6천735원)의 절반 수준이다.
연금 수급액은 25만∼50만원대가 50.9%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31.1%), 100만∼200만원(8.2%), 200만원 이상(5.9%), 25만원 미만(4.0%) 등 순이었다.
연금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46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 수급자는 476만명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9만2천원, 국민연금이 45만2천원으로 나타났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77만9천원, 미등록자는 65만7천원의 연금을 받았다. 수급률은 각각 93.1%, 90.0%였다.
특히 등록취업자 중 연금수급자는 267만4천명으로,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이 연금만으로는 생계를 꾸리기 어려운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을 소유한 수급자의 수급액은 87만3천원, 무주택 수급자는 54만5천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91.6%, 90.4%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남자(90만1천원)가 여자(51만7천원)보다 2배 가까이 많이 받았다.
남성은 국민연금, 여성은 기초연금 수급률이 높은 편인데,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과 물가상승률에 모두 영향을 받는 반면, 기초연금은 물가상승률만 반영돼 격차가 발생한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청장년층인 18∼59세 연금 가입률은 81.0%로, 전년(80.2%)보다 상승했고, 2개 이상 중복 가입률은 33.1%로 전년(33.0%)보다 소폭 증가했다.
월평균 보험료는 34만4천원으로 전년(33만5천원)보다 2.9% 증가했다.
청장년층인 18∼59세 등록 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5.1%로, 월평균 39만4천원의 보험료를 냈다.
반면 미등록자의 연금 가입률은 52.5%에 그쳤다. 이들이 낸 월평균 보험료는 16만1천원이었다.
18∼59세 주택 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91.8%, 월평균 보험료는 45만3천원이었다. 주택 미소유자의 가입률은 76.4%, 월평균 보험료는 28만9천원으로 나타났다.
가구로 보면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는 651만4천가구다. 수급률은 95.8%, 월평균 89만8천원을 받는다.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수급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수급가구)는 28만9천가구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중에 연금을 받는 가구는 201만2천가구다. 월평균 62만1천만원이다.
◇ 60∼64세 연금 가입률 41.2%…월평균 보험료 37만3천원
통계청은 이번 통계에서 '소득 크레바스' 위험이 높은 60∼64세 연령대를 조사 세부구간으로 별도 분석했다.
이 연령대는 퇴직으로 근로소득이 끊기지만,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수급 개시 연령에는 도달하지 못한 이들이 포함돼있다.
2023년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0∼64세 인구는 177만3천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42.7%였다.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100만4천원이었다.
2023년 기준,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인 63세를 기준으로 구분해 보면 60∼62세의 수급률은 24.8%, 63∼64세는 69.9%로 차이가 컸다.
수급 금액의 비중은 25만∼50만원대(29.8%)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29.4%), 100만∼200만원(15.9%), 200만원 이상(13.2%), 25만원 미만(11.8%) 등 순이었다.
국민연금 및 개인연금 수급자는 각각 138만4천명(78.1%), 32만1천명(18.1%)였다.
연금별 월평균 수급금액은 국민연금이 66만7천원, 개인연금이 53만7천원으로 조사됐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97만2천원, 미등록자는 104만7천원의 연금을 받았다. 수급률은 각각 45.3%, 39.7%였다.
주택소유자의 수급액은 115만8천, 무주택자는 80만1천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51.5%, 35.0%였다.
60∼64세 연금 가입률은 41.2%로, 월평균 보험료는 37만3천원이었다.
이또한 60∼62세 가입률은 50.9%, 63∼64세는 26.6%였다.
보험료 비중은 10만원 미만(53.5%)대가 가장 많았고, 10만∼25만원(24.5%), 25만∼50만원(13.5%) 등 순이었다.
등록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52.7%, 미등록자는 27.5%에 그쳤다. 월평균 보험료는 각각 41만5천원, 30만2천원이었다.
주택소유자의 경우에는 48.0%가 연금에 가입했으나 무주택자는 35.3%였다. 월평균 보험료는 각각 44만2천원, 29만3천원이었다.
최재혁 행정통계과장은 "현재 연금제도의 정착이 어느 정도 돼서 차곡차곡 쌓여 숙성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