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WHO가 회원국의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 역량을 평가하는 제2차 합동 외부 평가에서 견고하고 지속 가능한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 받았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합동 외부 평가 폐회식 [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936/art_17568475034288_74ed33.jpg?iqs=0.7822528072969324)
국내 보건안보 시스템이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견고하고 지속 가능한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았다. 56개 평가 지표 중 93%에서 '만점'을 받았다.
질병관리청은 WHO가 회원국의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 역량을 평가하는 제2차 합동 외부 평가에서 이러한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WHO 합동 외부평가단은 지난달 25일부터 29일까지 충북 오송 질병청을 방문해 항생제 내성, 예방접종, 공중보건 위기관리, 감염 예방관리, 위기 소통과 지역사회 참여 등 19개 영역에서 56개 지표를 평가했다.
평가 결과 19개 평가영역의 56개 지표 중 52개 지표가 5점 만점을 받았다. 평가 점수 만점인 5점은 지속 가능한 역량을 확보했음을 인정하는 최고 등급이다.
나머지 4개 지표는 4점을 받아 2017년 1차 합동 외부 평가 대비 모든 영역의 지표에서 역량이 향상되거나 유지됐다.
향후 보강이 필요한 역량으로는 이번에 새롭게 평가 지표로 추가된 보건 위기 상황에서의 성별 건강 영향 분석 등이 꼽혔다.
평가단은 평가를 마친 후 우리나라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 역량을 더욱 발전시키고 지속 가능케 하기 위한 6가지 핵심 권고안도 제시했다.
6가지는 ▲ 팬데믹 전담 기금과 같은 장기적 재원 조달 체계 구축 ▲ 기후변화와 인구 고령화 등 사회적 변화를 고려해 취약 계층의 요구를 보건 안보 계획에 반영 ▲ 국제보건규칙(IHR)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책임 있는 기관을 국가 IHR 당국으로 지정 ▲ 보건 안보를 위한 다부문 국가 행동계획 수립·이행 ▲ 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크 제도화 및 위기 소통 전담 부서 신설 ▲ 국제 지원 수준 향상이다.
질병청 등 관계부처는 평가 결과와 권고사항 등을 보건 관련 국가계획에 반영해 이행하는 등 후속 조치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