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이미지 갈무리]](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937/art_17574149865076_c451e7.jpg?iqs=0.9361696592911283)
경기도 내에서 '슈퍼세균' 감염 사례가 최근 2년 새 7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균(CRE)' 감염증의 도내 발생 신고 건수는 2022년 6천600건에서 2023년 8천878건, 지난해 1만1천85건으로 2년새 68.0%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만 6천336건 발생한 것을 고려하면 이런 증가세로 올해 말까지 가면 1만3천건을 상회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주로 의료기관 내에서 감염된 환자나 병원체 보유자 직·간접 접촉, 오염된 기구 등을 통해 전파된다.
세균 감염 질환 시 항생제 오남용이 한 원인으로 꼽히며, 감염됐다고 하면 대부분의 항생제가 듣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다.
이에 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등 1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선별검사 지원과 감염관리 환경 강화 등 'CRE 감염증 감소전략 사업'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의료기관별 현장 지원을 통해 개선안 제공, 의료기관과의 정기 정담회를 통한 감염관리 정보 공유 등도 지속해서 진행하고 있다.
한정희 경기도 감염병관리과장은 "CRE 감염증은 고위험군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만큼 예방과 신속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경기도는 현장 의견을 반영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능력을 강화하고,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의료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