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근거無…불안 야기 말아야"

  • 등록 2025.09.25 20:23:55
크게보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 말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 복용해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확립된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제적으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필요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해하지 마시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복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해서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아스피린과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가 해열·진통을 위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보건·의료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근거가 뭐냐"는 반발이 일고 있다.

 한편 의협은 최근 온라인상에 퍼지고 있는 '가짜 의사' 광고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을 예고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의사들은 일차적으로 특정 성분이 들어있는 구체적인 건강기능식품이나 약품에 대해 광고할 수 없다"며 "성분에 대한 학술적 설명은 가능하지만, 제품 광고라면 잘못된 행위 내지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영상인지 확인해 달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와 협력해 이러한 허위 광고를 차단하고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는 등 적극 대응하겠다"며 "내용이나 형식이 무리라고 생각되는 광고는 허위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허위 광고가 의심된다면 식약처나 의협으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간병비 국가지원 정책과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수급불안정 의약품에 대한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해서는 우려와 반대의 입장을 표명했다.

 김 대변인은 "간병비용 지원의 추진 방향은 맞지만, 급여화는 재원확보 방안을 마련한 후 사회적 합의를 거쳐 시행돼야 한다"며 "건강보험 급여 원칙에서 벗어난 간병비에 건보 재정이 투입된다는 점과 900여개의 요양병원이 (적용에서) 제외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간 수조원의 비용 투입은 건보 고갈을 앞당기게 될 것이며 간병비용은 지방자치단체 바우처 사업 등을 통해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급불안정 의약품 성분명 처방에 대해서는 "확고한 반대 입장"이라며 "수급불안정 의약품이라는 것은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성분명 처방은 틀렸다"고 강조했다.

 이어 "성분명 처방을 허가하는 것은 2000년부터 우리나라에 자리잡은 의약분업이라는 의료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것으로, 여기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저항하겠다"고 예고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