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고민 있어?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939/art_17590117536046_f7beae.jpg?iqs=0.3177884814816432)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가 13년 만에 최다를 기록한 가운데 올해 상반기에도 자살 사망자가 7천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상당한 규모다.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자살 문제를 개선하려면 고위험군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돕는 것을 넘어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한 공중보건적 접근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작년 상반기(7천844명)보다는 적고 2023년 상반기(7천142명)와 비슷한 수준이다. 2022년 상반기(6천436명)보다는 많았다.
이대로라면 연간 자살 사망자 수가 2011년 이후 최다를 기록한 지난해(1만4천872명)에 육박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올해 상반기 자살 사망자를 연령별로 보면 50대(22.4%)가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19.0%), 60대(15.1%), 30대(13.5%), 70대(9.8%), 80대 이상(8.9%), 20대(8.8%), 10대 이하(2.5%) 순이었다.
최민재 고려대 보건대학원 연구원 등은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제사회보장리뷰' 가을호에 게재한 '자살 예방의 공중보건적 관점과 시사점' 글에서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며 "공중보건적 접근이 자살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연구원 등은 학술지 '랜싯 퍼블릭 헬스'에 발표됐던 '자살 예방의 공중보건적 관점' 시리즈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면서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했는데, 자살을 단지 의료적 측면에서 볼 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 주목해야 한다는 게 시리즈의 주된 요지다.
자살 생각이나 행동을 경험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표적 개입'을 넘어 자살 위험이 높은 대상에 대한 '선별적 개입'과 전체 인구 집단에 대한 '보편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자살 수단에 대한 접근 제한, 경기 침체·실업 등에 대한 정부 대응, 자살을 해결책으로 인식하게 하는 언론 보도·콘텐츠 지양,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캠페인 등이 구체적인 공중보건적 자살 예방 전략으로 거론됐다.
최 연구원 등은 "범정부적 컨트롤타워가 각 부처의 재정·노동 정책 등이 자살에 미칠 영향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자살률에 미칠 가능성이 현저한 경우 이에 대처하는 보완적 정책을 살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