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쪽방촌과 부채질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728/art_17521308138574_daedf1.jpg?iqs=0.8050276128101288)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수분 배출이 많아지면 혈액을 농축시켜 혈전 위험이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거나 재발할 우려도 커진다"며 "특히 노인은 체내 수분이 적은 편이라 더 위험하다"고 밝혔다.
저혈압과 고혈압 환자도 주의해야 한다.
여름에는 우리 몸이 체온을 낮추기 위해 말초혈관을 확장하고 혈압을 낮추기 때문에 저혈압이 더 심해질 수 있고, 이때 어지럼증이나 현기증을 동반하면서 자칫 낙상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 여름에는 정상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이 수축과 이완을 활발하게 반복하는데, 이때 급격 한 혈압 변동은 고혈압 환자의 혈관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만성질환자가 여름철을 건강하게 나기 위해서는 폭염에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최선이다.
평소 운동을 하는 건 좋지만, 더운 날씨에 무리했다가는 탈수와 기력 소진으로 컨디션이 더 악화할 수 있으므로 각자 상황에 맞게 활동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