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대 당뇨·비만약, 치매 위험 37%·사망률 30% 감소 효과"

  • 등록 2025.07.17 07:46:13
크게보기

대만 연구팀 "세마글루티드·티르제파티드, 신경·뇌혈관 보호 시사"

 당뇨병·비만 치료제로 사용되는 2세대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수용체 작용제(GLP-1RA) 세마글루티드(semaglutide)와 티르제파티드(tirzepatide)가 당뇨·비만 환자의 치매 위험을 37%,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을 30%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만 타이중시 중산의대 제임스 청중 웨이 교수팀은 17일 미국의사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미국 당뇨·비만 환자 6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GLP-1R 작용제와 다른 치료제가 치매 및 사망률 등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미국 전자의무기록 네트워크(TriNetX US network)에 등록된 40세 이상, 신경퇴행성 및 뇌혈관 질환 병력이 없는 제2형 당뇨병·비만 환자 6만860명의 7년간(2017년 12월 1일 ~ 2024년 6월 30일) 데이터를 분석했다.

 3만430명(평균 연령 57.9세)은 세마글루티드와 티르제파트드를, 나머지 3만430명(평균 연령 58.0세)은 다른 치료제(비구아나이드, 설폰요소제 등)를 투여받은 환자들이고, 추적 관찰 데이터에는 치매, 파킨슨병, 허혈성 뇌졸중, 뇌내출혈, 전체 사망률 등이 포함됐다.

 분석 결과 추적관찰 7년 동안 치매 위험은 세마글루티드·티르제파티드 그룹이 다른 치료제 그룹보다 37% 낮았고, 뇌졸중 위험은 19%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GLP-1R 작용제 그룹이 다른 치료제 그룹보다 30%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세마글루티드와 티르제파티드의 치매·뇌졸중·사망률 감소 효과는 60세 이상, 여성, 체질량지수(BMI) 30~40인 환자에서 더 컸다.

 그러나 이들 약물과 파킨슨병 및 뇌내출혈 위험 간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세마글루티드와 티르제파티드 같은 2세대 GLP-1R 작용제가 제2형 당뇨병과 비만을 모두 가진 환자에서 치매·뇌졸중 위험 및 전체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GLP-1R 작용제가 혈당 조절을 넘어 신경을 보호하고 뇌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는 작용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출처 : JAMA Network Open, James Cheng-Chung Wei et al., 'Neurodegeneration and Stroke After Semaglutide and Tirzepatide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Obesity', http://jamanetwork.com/journals/jamanetworkopen/fullarticle/10.1001/jamanetworkopen.2025.21016?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term=071525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