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strong>[게티이미지뱅크 제공]](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833/art_17553803131206_7d3ff2.jpg?iqs=0.6254333245724288)
"수업 시간에 가만히 있지를 못합니다. 사물함 위에 드러눕거나 갑자기 바닥에 침을 뱉고, 돌아다니면서 친구들 책에 낙서하기도 해요. 이런 '금쪽이'가 한 반에 한 명은 꼭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서울 초등교사 A씨)
"10년 전 한 학년에 이런 아이들이 1∼2명이었다면, 지금은 한 반에 1∼2명 정도입니다. 교사 한 명이 다른 아이들을 가르치며 문제 행동을 하는 아이를 책상에 붙들어 놓는 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경기 초등교사 B씨)
17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원단체 좋은교사운동이 전국 유·초·중학교 교사 6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정서·행동 위기 학생을 경험했다고 답한 사람은 2022년 기준 87%에 달했다.
현재 전국에 정서·행동 위기 아동이 얼마나 있는지 정확한 수치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교육계에서는 최근 들어 그 비율이 더 증가했을 것으로 본다. 문제행동과 관련이 깊은 아동 ADHD 환자 수가 매년 느는 추세기 때문이다.
만 5∼14세 ADHD 환자 수는 2022년 7만3천여 명이었으나 2년 만인 2024년 11만4천명을 넘겼다. 환자 비율 역시 2022년 1.6%에서 2.7%로 증가했다.
현장 교사들이 체감하기에도 정서·행동 위기 아동 수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13년 경력의 초등교사 C씨는 "해를 거듭할수록 제어가 어려운 아이들이 많아진다"며 "교편을 잡은 지 20∼30년 된 선생님들도 정서·행동 위기 학생의 수뿐만 아니라 문제행동의 수위 역시 심각해지고 있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문제는 교사들이 이런 아이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교사가 특정 학생을 정서·행동 위기 학생으로 판단해 전문가·의료기관 상담 등 지원을 하려 해도 학부모가 동의하지 않을 경우 현행법상 이를 강요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정서·행동 위기 학생을 지원하는 학생맞춤통합지원법이 있지만 보호자의 동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임상심리사 등 전문가를 통해 학부모를 설득하는 과정을 거치고도 학부모가 치료를 거부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고 말했다.
정혜영 서울교사노조 대변인 역시 "아이가 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고위험군'이라는 결과가 나와도 '우리 아이는 정상'이라며 치료를 거부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교사들은 학부모에게 아이가 교내 상담실을 이용하도록 권유하는 것도 매우 부담스러워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교사들은 정서·행동 위기 학생을 지도할 때 가장 어려운 점으로 '학부모'를 꼽았다.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이 지난 3월 내놓은 '사회정서학습에 기반한 교실 속 문제행동 예방 및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 지원 방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논문에 따르면, 서울 소재 초등교사 1천200명 중 58.5%가 '학생의 문제행동 지도에서 가장 어려운 점'을 묻는 말에 '가정과의 협조'라고 답했다.
'학생의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66.9%가 '학생과 학부모의 협조'라고 응답했다.
교육계에선 필요시 학부모 동의 없이도 아이가 상담과 치료를 받게 하는 법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아울러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전문적으로 지도하는 교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좋은교사운동 관계자는 "지금은 위기 학생을 관리하는 전문적인 인력과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국가 차원에서 정서·행동 위기 아동 전문교사를 양성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