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7월 주택용 전기 11% 늘어 역대최대…누진제에 요금은 17%↑

  • 등록 2025.09.29 13:34:51
크게보기

가정용 전기사용 증가세 뚜렷…올여름 최고 '3단계' 적용 큰폭 증가 전망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지난 7월 냉방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국내 주택용 전기 사용량이 작년 동기보다 약 11% 급증해 역대 7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지난 7월 주택용 전기 판매량은 8천304GWh(기가와트시)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9% 증가해 역대 7월 중 가장 많았다.

 7월 주택용 전기 판매량 증가 폭은 전체 전기 판매량 증가 폭인 3.7%를 크게 웃돌았다.

 7월 주택용 전기 사용량 증가에는 이례적으로 일찍 폭염이 찾아온 데 따른 냉방 수요 증가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 평균 기온은 27.1도로 관측 이래 최악 폭염이 닥친 1994년에 이어 가장 더웠다.

 평균 최고기온도 32.0도로 역대 2위에 해당했다.

 기온 요인을 배제해도 경제력 향상과 일상의 전기화 가속 등 구조적 경제·사회적 변화로 주택용 전기 사용은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인다.

 한전의 연간 주택용 전기 판매량은 2018년과 2022년 각각 7만GWh, 8만GWh를 각각 돌파해 2024년 8만6천989GWh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지금과 같은 추세면 올해 다시 주택용 전기 판매량이 9만GWh를 넘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 7월 주택용 전기 사용량이 약 11% 늘었지만 주택용 전기 이용자들이 실제로 느낀 전기요금 부담 증가 폭은 이보다 컸다.

 한전의 7월 주택용 전기 판매 수입은 1조3천508억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7.4% 증가했다.

 사용량 증가 폭보다 요금 증가 폭이 크게 높은 것은 전반적 전기 사용량 증가로 누진제 적용을 추가로 받는 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누진제 전기요금은 산업용, 일반용과 다릴 주택용에만 적용된다.

 현재 여름철인 7∼8월 주택용 전력 요금 체계는 '300kWh 이하'(1kWh당 120원), '300kWh 초과 450kWh 이하'(214.6원), '450kWh 초과'(307.3원)의 3단계로 구간을 나눠 위로 갈수록 요금이 늘어난다.

 기본요금도 300kWh 이하일 땐 910원으로 가장 낮지만, 300kWh를 넘으면 1천600원으로 오른다. 450kWh를 초과하면 7천300원이 적용된다.

 450kWh를 '전기 과소비'의 기준으로 보는 현행 기준은 2018년 이후 8년째 변함없이 유지 중이다.

 그렇지만 '전기 과소비'로 간주하는 누진제 최고 구간 적용을 받는 가구가 급증해 구간을 현실에 맞춰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된다.

 한전이 최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장철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8월 국내 2천512만가구(가구 구성원 수 무관) 중 월 사용 전기가 450kWh를 초과해 전기요금 최고 누진 구간인 3단계 적용을 받은 가구는 1천22만가구로 전체 가구의 약 40.5%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020년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수행한 에너지총조사에 따르면 4인 가구의 7∼8월 월평균 전기 사용량은 427kWh였다.

 전기 사용 확대 흐름 속에서 업계에서는 5년이 지난 현재 평균 4인 가구 사용량이 이미 500kWh에 가까워졌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