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온열질환자 벌써 3천705명…지난해 전체 규모 넘었다

  • 등록 2025.08.19 16:55:32
크게보기

한여름 가기도 전에 작년 기록 경신…2018년 이후 역대 두 번째 규모

 올해 응급실을 찾은 온열질환자가 19일부로 작년 전체 온열질환자 수를 넘어섰다.

 여름이 빨라져 집계 시점을 지난해보다 닷새 일찍 잡긴 했지만, 이례적인 폭염에 온열질환자가 급증하면서 작년 기록을 일찌감치 갈아치운 것으로 보인다.

 1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전국 500여곳 응급실을 찾은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자는 30명으로 집계됐다.

 질병청은 지난해에는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가동했으며, 이 기간 전체 온열질환자 수는 3천704명, 사망자는 34명이었다.

 올해 온열질환자 수가 지난해 기록을 넘어서면서 2011년 감시체계가 가동된 이래 '최악의 더위'로 기록됐던 2018년(4천526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가 됐다.

 온열질환은 열 때문에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통상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제때 조치하지 않으면 의식 저하가 나타나면서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열탈진과 열사병이 대표적인데, 환자의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오르는데도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하고 뜨거워졌을 때는 열사병을 의심해야 한다.

 열사병은 다발성 장기 손상과 기능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치사율도 높다. 국내에서 발생한 온열질환 사망자 대부분은 열사병으로 추정된다.

 열탈진은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할 때 발생하고,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며 물과 이온 음료를 섭취하면 나아질 수 있다.

 올해 누적 온열질환자의 61.9%는 열탈진이었고, 15.2%는 열사병, 13.4%는 열경련이었다.

 연령별로는 65세 노인의 비중이 31.1%로 가장 컸다. 노인은 폭염 시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시원한 곳에 머무는 게 바람직하다.

 환자 발생 장소는 실외 작업장 32.4%, 길가 11.8%, 논밭 11.7% 등 실외 공간이 다수였다. 다만 실내 작업장과 집에서 발생한 비율도 각각 7.6%와 5.8%를 차지해 주의해야 한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