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75세 이상 노인은 혈압이 정상 수치를 밑돌아도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국립보건연구원(NIHR: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Research)의 노인의학 전문의 제인 마솔리교수 연구팀이 노인 41만5천980명의 10년간 전자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ScienceDaily)가 9일 보도했다.

 혈압이 정상 수치인 130/80mmHg에 못 미치는 노인이 혈압이 130~139/80~90mmHg인 노인에 비해 사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특히 몸이 허약한(frail) 노인들이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져 조사 기간 동안 사망률이 62%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압이 높은 노인은 대체로 심혈관질환을 겪을 위험이 높았지만 75세 이상의 허약한 노인들은 혈압이 높아도 사망위험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특히 80세 이상 노인은 몸이 허약하거나 허약하지 않거나와 무관하게 혈압이 낮은 노인보다 사망 위험이 낮았다.

 최근에는 정상 혈압의 기준이 엄격해지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지만 이것이 몸이 허약한 노인들에게는 안전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혈압을 크게 낮추기 위한 공격적인 치료가 연세가 많은 노인에게도 과연 안전한 것인지는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 노인의학회(British Geriatrics Society) 학술지 '나이와 노화'(Age and Ageing)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사 레이저 미용시술' 놓고 의사 vs 한의사 또 충돌
한의사의 엑스레이(X-ray) 사용에 이어 이번에는 레이저 미용시술을 놓고 의사와 한의사가 또다시 충돌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이달 초 서울 동대문경찰서가 한의사 A씨의 국소마취제 사용 및 레이저·초음파·고주파 의료기기 시술에 대해 '불송치(혐의 없음)' 결정을 내린 걸 두고 양측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A씨는 환자에 국소마취제를 도포한 뒤 레이저 의료기기로 미용시술을 했다가 면허 범위 이외의 의료행위라며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했다. 그러나 경찰은 A씨가 사용한 국소마취제가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이고, 레이저·초음파 기기가 한의학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점 등을 들어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한방대책특별위원회(의협 한특위)는 "이번 결정은 의료체계의 근간을 정면으로 훼손한 중대한 판단 오류"라며 "한의사가 미용 시술을 명목으로 의료행위를 수행하고 대가를 수수한 건 무면허 의료행위 및 한의사 면허 이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일반의약품이라고 해도 피부에 마취 크림을 도포한 후 레이저 시술을 하는 행위는 의사만이 할 수 있는 고유한 의료행위이며, 한의학 교육과정에 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