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병원한방

전체기사 보기

화성 동탄2 종합병원 재공모에 고려대·순천향대 의료원 참여

경기 화성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추진 중인 '동탄2신도시 내 종합병원 유치 패키지형 개발사업'에 2개 컨소시엄이 참가확약서를 제출했다고 28일 밝혔다. 확약서를 제출한 컨소시엄의 대표업체는 리즈인터내셔널㈜과 에스디에이엠씨㈜이며, 각 컨소시엄에는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고려대의료원)과 학교법인 동은학원(순천향대의료원)이 포함됐다. 두 컨소시엄은 참가확약서와 함께 5억원의 입찰보증금과 제출했으며, 다음 달 30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컨소시엄 대표사는 1년간 LH가 시행하는 토지매각형 공모사업 참여가 제한되고, 이미 납부한 입찰보증금은 전액 몰수된다. LH는 오는 11월 중 위원회를 열어 종합개발구상, 종합병원 건립 및 운영계획, 사업 수행 능력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한 뒤 우선협상대상 컨소시엄을 선정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에 건립을 추진 중인 종합병원을 700병상 이상의 3차 상급종합병원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동탄2신도시 내 종합병원 유치 패키지형 개발사업은 ▲ 의료시설용지 ▲ 도시지원시설용지 ▲ 주상복합용지(2개 블록) 등 총 4개 블록(약 19만㎡)을 묶어 동시 매각한 뒤 의료시설과 도시지원시설, 주

의협 "공공의대 과거에 실패한 정책…재추진 의료계와 논의해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재명 정부의 공약인 공공의대 등에 대해 "과거에 실패한 정책"이라며 의료계와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28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김 회장은 "지역의사제·공공의대 등은 이전 정부에서도 수차례 논의됐지만 사회적 공감대·실현 가능성 부족으로 실행되지 못한 정책"이라며 "동일한 정책을 다시 추진하기 위해서는 과거 실패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공의료사관학교를 포함해 현 정부가 이야기하고 있는 정책들은 명확한 설계도조차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분한 사회적 합의 없이 논의되고 있다"며 "사회적 논의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지난 정부의 무분별한 의대 증원 정책과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공공의료사관학교를 제외한 내용은 이전 정부들에서도 굉장히 오랫동안 제시된 내용인데, 그때마다 했던 질문에 대한 답을 아직 받은 바가 없다"며 "헌법적으로 직업 선택·거주 이전의 자유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지, 지역 인구가 소멸하고 있는데 의대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이 없다"고 지적했다. 의협은 전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