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원으로 동해시 관광지를 구경하자." 강원 동해문화관광재단은 오는 2월 1일부터 동해시티투어버스 운행을 재개한다고 20일 밝혔다. 동해시티투어버스는 시를 찾는 관광객 편의를 돕고 망상, 묵호, 천곡, 추암, 무릉 등 주요 관광지를 연계해 관광객에게 이동 편의를 제공하고 지역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매주 토·일요일, 공휴일에 버스 2대를 활용해 운행한다. 묵호역을 출발한 버스는 묵호항여객터미널, 수변공원, 어달해변, 망상해수욕장, 동해시종합버스터미널, 천곡로터리, 천곡황금박쥐동굴, 무릉별유천지, 무릉계곡, 추암해변, 감추사를 거쳐 묵호역에 도착하는 2시간 소요 순환 버스다. 문화관광해설사가 탑승해 주요 관광지의 특징과 역사를 설명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탑승객 불편을 개선하고자 실시간 버스 위치 확인 서비스가 새롭게 도입된다. 이전에는 버스 위치를 확인할 방법이 없었으나 이번 시스템 적용으로 효율적이고 편리한 이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용요금은 성인 5천원, 37개월 이상 고등학생 3천원이며, 36개월 이하의 유아는 무료다. 네이버를 통한 인터넷 사전 예약과 현장 카드 결제로 탑승할 수 있다. 이용자를 위한 특별 이벤트도 준비됐다. 시티투어버
아버지가 폐암에 걸렸을 때, 소년은 절에서 1천80배를 했다. 다리가 후들거리고 숨이 가빠질 정도로 매 순간 정성을 다해서 절을 했다. 그러나 염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아버지는 쉰이라는 한창나이에 폐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때 소년의 나이는 열일곱에 불과했다. 가세는 순식간에 기울었고, 어머니는 해보지 않았던 식당 일에 나섰다. 대출이 이어지면서 갚아야 할 돈은 갈수록 늘어났다. 압류 위기와 빚을 갚으라는 독촉 전화가 빗발치는 상황에서 소년이 할 수 있는 일은 공부뿐이었다. 12시간씩 앉아 방석이 너덜너덜해질 때까지 공부했다. 꿈쩍도 하지 않았던 성적이 기적적으로 오르기 시작하면서 그가 원하던 학과에 진학할 수 있었다. '사람은 왜 암으로 죽는가'라는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그는 의대에 진학했다. 바쁜 의대 생활을 경험한 후 죽음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기 시작한 건 전공의가 된 이후였다. 레지던트가 된 첫날 밤 그는 네 장의 사망진단서를 썼다. 그 묵직한 책임감 속에 "다시 어제의 인턴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가 목도한 죽음은 생각보다 빨리 찾아왔다. 소설에서 보듯, 사람은 시름시름 앓다가 천천히 가는 것이 아니었다. "죽음은 직선적이지 않
"겨울인데, 붕어빵 파는 곳 찾기가 어렵습니다." 골목, 골목에서 풍겨오던 붕어빵의 고소한 냄새가 최근 사라지는 추세다. 행정 당국의 강화된 불법 영업 단속, 원재료 가격 상승 등 다양한 원인이 꼽힌다. 지난 17일 오후 대구 번화가인 동성로와 교동 일대를 둘러본 결과 길거리에서 붕어빵을 파는 상인은 없었다. 붕어빵 판매점 위치를 알려주는 앱(붕세권)을 통해 4곳을 찾아갔지만 모두 허탕이었다. 노점상들이 단속을 피해 장소를 수시로 바꿔가며 장사를 하면서 리어카를 남겨놓은 곳도 없었다. 1시간 30분가량 발걸음을 옮긴 끝에 붕어빵 판매점 1곳을 발견했다. 소규모 마트 공간 일부에 붕어빵 판매 공간을 마련한 곳이었다. '팥 맛 3개 2천원, 슈크림 맛 3개 2천원…' 판매자 A씨는 "붕어빵 반죽, LPG 가스, 팥 가격이 올라서 이제는 예전처럼 '팥 맛 3개 1천원'에는 팔 수가 없다"며 "5㎏짜리 반죽 1개를 1만1천원에 구해오는데 이걸 지금 가격대로 다 팔면 3만3천원 정도가 남는다"고 말했다. 그는 "하루 시급으로 계산하면 남는 것이 없는 셈"이라며 "20㎏짜리 LPG 가스도 5만3천원 정도 하는데 5일이면 다 쓴다"고 덧붙였다. 붕어빵 장사 경험이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