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첫 번째 이식받은 신장이 수명을 다하면 또 다른 신장을 이식받는 것이 최선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식받은 신장의 수명은 평균 10~15년이다. 이는 이식받은 신장이 환자 대부분의 경우 환자의 여생까지 버티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째 이식받은 신장이 수명을 다했을 때 선택은 신장을 다시 이식받느냐 아니면 투석을 시작하느냐 인데 어느 것이 최선인지는 지금까지 불투명했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 신장 과장 라이너 오버바우어 박사 연구팀은 이식받은 신장의 수명이 끝나면 또 다른 신장을 이식받는 것이 투석하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첫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신장이 기능을 다해 두 번째 신장 이식을 위해 신장 이식 대기자 명단에 올라간 2천300여 명의 10년간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이 신장 이식 대기자 명단에 올라가 있는 동안 투석을 시작한 사람보다 평균 수명이 5.8개월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긴 했지만 이식받을 때까지 오랫동안 기다린 사람은 생존 기간 차이가 별로 크지 않았다.

 두 번째 신장을 1년 안에 이식받은 사람은 투석을 시작한 사람보다 생존 기간이 평균 8개월 길었지만 8년을 기다려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은 평균 0.1개월 더 사는 데 그쳤다.

 그렇더라도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으면 삶의 질 자체가 좋아지기 때문에 마땅한 공여자가 나타나면 늦더라도 신장을 이식받아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만약 다른 나라들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두 번째 신장이식이 필요한 사람은 투석이 필요해지기 전에 서둘러서 이식 신장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장학회 임상 저널'(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