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첫 번째 이식받은 신장이 수명을 다하면 또 다른 신장을 이식받는 것이 최선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식받은 신장의 수명은 평균 10~15년이다. 이는 이식받은 신장이 환자 대부분의 경우 환자의 여생까지 버티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째 이식받은 신장이 수명을 다했을 때 선택은 신장을 다시 이식받느냐 아니면 투석을 시작하느냐 인데 어느 것이 최선인지는 지금까지 불투명했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 신장 과장 라이너 오버바우어 박사 연구팀은 이식받은 신장의 수명이 끝나면 또 다른 신장을 이식받는 것이 투석하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첫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신장이 기능을 다해 두 번째 신장 이식을 위해 신장 이식 대기자 명단에 올라간 2천300여 명의 10년간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이 신장 이식 대기자 명단에 올라가 있는 동안 투석을 시작한 사람보다 평균 수명이 5.8개월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긴 했지만 이식받을 때까지 오랫동안 기다린 사람은 생존 기간 차이가 별로 크지 않았다.

 두 번째 신장을 1년 안에 이식받은 사람은 투석을 시작한 사람보다 생존 기간이 평균 8개월 길었지만 8년을 기다려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은 평균 0.1개월 더 사는 데 그쳤다.

 그렇더라도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으면 삶의 질 자체가 좋아지기 때문에 마땅한 공여자가 나타나면 늦더라도 신장을 이식받아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만약 다른 나라들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두 번째 신장이식이 필요한 사람은 투석이 필요해지기 전에 서둘러서 이식 신장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장학회 임상 저널'(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출생통보·보호출산제 19일부터 시행…정부, "최후 수단" 강조
의료기관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동의 출생이 자동으로 등록되는 '출생통보제'와, 아이를 키우기 힘든 임산부가 가명으로 아이를 낳을 수 있게 돕는 '보호출산제'가 19일부터 시행된다. 지난해 6월 발생한 수원 영아 사망사건과 같은 아동의 출생 등록 누락 사례를 막고, 국가가 모든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들이다. 정부는 산모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하는 보호출산제를 고려하기 전 직접 양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담 체계(☎1308)도 구축했다. ◇ 출생신고 누락 없도록…병원 출생 아동, 지자체에 자동 통보 보건복지부는 19일 출생통보제와 위기 임신 지원 및 보호출산제를 동시 시행한다고 밝혔다. 출생통보제는 의료기관이 아동의 출생 사실과 생모의 성명, 출생 연월일시 등 정보를 출생 후 14일 안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통보하고, 심평원은 다시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는 제도다. 2021년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에 따르면 출생아의 99.8%가 의료기관에서 출생하는 만큼, 출생통보제를 통해 대부분의 출생아를 공적 체계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정부는 제도 시행에 앞서 개별 병원에서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에 입력한 출생 정보가 자동으로 가족관계 등록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