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서울대 보건대학원, 1천명 설문조사…44% "안전하지 않다"
65%, 한 달 전보다 상황 '안정됐다' 평가…84% '거리두기' 실천

 국민 3명 중 2명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끝내고 일상생활을 재개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릴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0∼13일 전국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4차 코로나19 국민인식'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설문조사 대상자의 65.6%는 등교, 출근 등 다시 일상활동을 하게 되면 자신과 가족의 감염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답했다. 감염위험이 커지지 않을 것이란 응답자는 10.4%에 불과했다.

 이런 위험도에 대한 인식은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 20대의 71.8%가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답했고, 40대는 68.8%, 30대 65.0%, 50·60대 각각 62.6% 등의 순으로 위험 인식이 높았다.

 코로나19 사태를 한 달 전과 비교했을 때 '안정됐다'고 보는 의견은 64.8%로 나왔다. '안정되지 않았다'는 18.0%, '그대로다'는 17.2%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신규 확진자가 하루 50명 밑으로 발생했던 때다.

 하지만 우리 사회가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보는 비율은 낮았다. 응답자의 44.4%는 '안전하지 않다', 21.6%는 '안전하다'고 답했다.

 직업군별로 보면 학생에서 유일하게 안전하다고 보는 답변이 36.1%로 '그렇지 않다'(24.6%)보다 높았다. 나머지 직업군에서는 안전하지 않다는 답변 비율이 더 높았다.

 특히 판매·영업직의 51.4%는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고, 안전하다는 답변은 18.9%에 그쳤다.

 유 교수는 "확진자 수 감소세 유지 등 사태가 안정을 찾아간다고 보면서도 여전히 일상복귀는 안심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이는 (확진자 발생) 통계 수치를 근거로 판단하는 객관적 위험과 심리적 위험 사이의 괴리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율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팀 제공]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3.7%는 최근 2주간 사회적 거리두기를 철저히 실천했다고 답했다. 앞으로도 실천하겠다는 답변도 86.1%를 차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기 어려운 부분으로는 '대중교통 이용 자제'가 26.5%로 가장 많았고, '외출자제'(18.3%), '사람과 사람 사이 두 팔 간격 거리(2m) 유지'(17.1%), '가정·사무실 주기적 소독'(1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방역 전환을 앞두고 정부가 제시한 '생활방역' 5대 수칙 실천율은 50∼70%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실천율을 보면 '아침·저녁으로 자주 환기'(79.2%),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두 팔 간격으로 충분한 간격을 둡니다'(71.9%), '아프면 3∼4일 집에서 쉽니다'(69.5%), '친구, 지인에게 안부 연락'(59.8%), '가정이나 사무실 등 주기적 소독'(54.7%)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생활방역 전환을 위해서는 감염예방 문화 조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응답자의 32.9%는 생활방역 준비에 미흡한 부분으로 '감염예방행위 실천이 새로운 생활이 되도록 촉진하는 규범과 문화 조성'을 꼽았다. 24.9%는 '아프면 쉰다 등 생활방역 지침이 일상에 자리 잡도록 하는 제도'가 미흡하다고 답했다.

 유 교수는 "이번 설문조사는 누구도 경험하지 않은 새로운 일상을 앞두고 생활방역에 대한 국민의 수용력과 충족되지 않은 수요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보건정책은 국민과 사회가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못하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