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은 신경외과 오재상 교수 연구팀이 응급 뇌졸중 환자의 초기 치료 과정을 표준화한 진료 지침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개발 과정에서 진행된 연구 결과는 대한신경외과학회 공식 학술지(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에 논문 3편으로 발표됐다. 연구 주제는 뇌졸중 의심 환자 선별 도구의 효과, 급성 뇌경색 환자의 기계적 혈전 제거술 시행을 위한 병원 이송 기준, 급성 지주막하출혈 환자의 초기 뇌동맥류 치료 방안 등이다. 이번 연구는 이형진·김훈·김영우 가톨릭대 교수가 공동 참여하고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대한뇌혈관수술학회, 대한응급의학회, 뇌졸중 치료 전문의 등이 협력해 진행됐다. 특히 이 지침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과 협업으로 완성돼 진료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환자, 보호자, 의료진 모두 참고할 수 있는 안내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오 교수는 "응급 뇌졸중 치료는 시간과의 싸움인 만큼 표준화된 지침은 환자의 생존율과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심혈관 질환 등으로 심장이 제 기능을 못 하는 심부전(heart failure)을 앓고 회복 중인 환자가 잠들고 깨는 시간이 불규칙할 경우 6개월 내 증상이 재발할 위험이 2배 이상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 대학(OHSU) 브룩 셰이퍼 박사팀은 지난 25일 미국심장병학회 학술지 JACC 어드밴시스(JACC Advances)에서 심부전 환자 30여명을 대상으로 수면 주기의 규칙성과 증상 재발 연관성을 추적 관찰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셰퍼 박사는 "일정한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는 것은 전반적인 건강에 중요하다"며 "이 연구는 수면 시간의 일관성이 심부전 환자들에게 특히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심부전은 노인층이 입원 치료를 반복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퇴원 후 심장이 제 기능을 못 해 갑자기 상태가 나빠지고 폐에 물이 차는 등 증상을 보이는 급성 악화 심부전(ADHF)은 재입원이나 사망 위험을 예고하는 중요 증상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심부전을 앓고 회복 중인 환자들의 급성 악화 심부전을 막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2022년 9~2023년 10
주로 비만과 관련이 있는 2형 당뇨병의 유병률(prevalence·당뇨병을 지닌 인구의 비율)이 국내 30세 미만 젊은 세대 사이에서 최근 13년 사이 4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 면역 이상에 따른 1형 유병률도 같은 기간 거의 2배가 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의 지원을 받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팀이 2008∼2021년 30세 미만 당뇨 환자 13만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도출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장기간, 최대 규모 데이터 연구로, 국제 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JKMS)에 실렸다.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과거 소아·청소년에게서는 1형 당뇨병이 주로 발생했으나 최근 세계적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2형 당뇨병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혈당 조절이 되지 않는 질환으로,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해 흔히 '소아당뇨'로 불리기도 한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생기는 병이다. 2형 당뇨병 환자 상당수가 비만을 동반한다. 연구 결과, 30세 미만의 2형 당뇨병 환자 유병률은 2008년 인구 10만명당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