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공공의료 시스템에 AI 입힌다…폐암 등 진단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공공·지역 의료기관에 인공지능(AI) 기반 질병 진단·치료 시스템을 도입하는 지원 사업에 코어라인소프트 컨소시엄 등 6곳이 신규 선정됐다고 최근  밝혔다.

 코어라인소프트 컨소시엄은 서산·천안·공주·홍성·청주·충주 의료원과 협력해 AI 기반 폐암 조기 진단 영상 시스템을 구축한다.

 페르소나AI 컨소시엄은 국립마산병원, 충남대병원 등 결핵 고위험 지역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결핵 진단 AI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휴런 컨소시엄은 전남대병원, 경북대병원, 충남대병원과 뇌졸중 진단 보조 설루션을 실증하고, 와우키키 컨소시엄은 분당서울대병원, 경기도의료원 등과 언어장애 아동의 조기 진단 및 재활을 지원하는 디지털 치료 설루션을 개발한다.

 각 컨소시엄에는 최대 2년간 17억4천만원이 지원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학병원 치료 후 동네 병으원으로 돌아가는 길 막힌 환자들
동네 치과의원에서 치료가 어렵다는 소견을 듣고 대학치과병원을 찾은 환자 A씨. 다행히 복잡한 치료를 무사히 마쳤지만, 간단한 후속 관리를 받기 위해서도 계속해서 복잡한 대학병원을 찾아야 한다. 원래 다니던 동네 의원으로 돌아가라는 안내도, 관련 진료기록을 공유하는 절차도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치과 의료전달체계가 이처럼 1차 의료기관(치과의원)에서 상급 병원으로 환자를 보내기만 하는 '일방통행'식으로 운영돼 환자 불편과 의료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실태가 국내 첫 대규모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공식적인 의뢰·회송 제도가 없는 상황에서 1차 치과의원들의 '선의'에 기댄 자발적 의뢰는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나, 치료가 끝난 환자를 다시 동네 병의원으로 돌려보내는 회송 시스템은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 1.6만 건 분석…회송률 5.8% '충격' 21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등 4개 국립대치과병원(서울대·강릉원주대·경북대·부산대)이 수행한 '치의료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의뢰·회송 운영(안) 마련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행 치과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가 수치로 명확히 드러났다. 연구팀은 2023년 한 해 동안 4개 국립대치과병원에 의뢰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