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10.27
(월)
동두천 15.1℃
흐림
강릉 15.7℃
흐림
서울 16.5℃
흐림
대전 19.4℃
흐림
대구 19.1℃
흐림
울산 19.5℃
흐림
광주 22.1℃
흐림
부산 21.7℃
흐림
고창 23.2℃
구름많음
제주 26.3℃
맑음
강화 15.4℃
흐림
보은 18.0℃
흐림
금산 19.7℃
구름많음
강진군 23.0℃
흐림
경주시 18.6℃
흐림
거제 21.8℃
흐림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라이프
홈
라이프
이전
141
142
143
다음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9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만약 '위고비·마운자로' 오남용심각…정부 "우려의약품 지정"
정부가 '위고비', '마운자로' 등 신종 비만 치료제의 오남용 문제에 칼을 빼 든다. 미용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처방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이들 약물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의약분업 원칙을 위반한 의료기관의 '원내조제' 행위에 대한 단속도 강화한다. 최근 이들 약물은 본래의 당뇨병 치료나 고도비만 환자 대상이 아닌,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게까지 '살 빼는 주사'로 알려지며 미용 목적으로 처방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오남용 실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허가 기준을 벗어난 처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분명한 입장을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와 협의해 해당 약물들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약물들은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 '기적의 약'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전문의약품인 만큼 뚜렷한 부작용 위험을 안고 있다. 가벼운 메스꺼움이나 구토, 설사 등 소화기계 문제뿐만 아니라, 심각하게는 췌장염이나 장폐색(장 마비) 같은 치명적 합병증까지 보고된 바 있다. 의약분업 원칙을 둘러싼 '원내 조제' 논란도 정부의 관리·감독 대상에 올랐다. 현행 의약분업 원칙상 의사는
병원급 '정신병원'에도 약사 1명 이상 둬야 한다
의협 "성분명처방·한의사 X레이·검체검사 개편 총력 저지"
환자만 빠진 '상품명' vs '성분명' 처방 25년 전쟁
'대마 성분' 뇌전증 약 건보 청구 3년새 2배…"규제 완화해야"
메디칼산업
더보기
에스티팜 "에이즈 치료제 임상 2a상서 안전성 확인"
에스티팜은 지난 19~22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IDWeek 2025'에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 'STP0404'의 임상 2a상 중간 분석결과 안전성과 내약성 등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에이즈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발병하는 질환이다. 에스티팜은 임상 2a상에서 HIV-1에 감염됐지만 처방은 받지 않은 18~65세 성인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활성,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 특성을 평가했다. 중간 분석결과에 따르면 치료군에서 혈장 HIV-1 리보핵산(RNA) 수준이 11일까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평균 감소치는 ml당 1.191~1.552 log10 카피스(copies)로 미국식품의약국(FDA) HIV-1 감염 치료 가이드라인의 1차 효능 지표 충족 수준이 0.5 이상을 넘겼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치료 유발 이상 반응 16건 중 3건은 연구 약물과 관련 가능성이 있었지만, 중대한 이상반응이나 심각한 이상 반응, 투약 중단 사례는 중간 분석까지 관찰되지 않았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약동학에서는 용량의존적 증가, 투약 후 4.5~5.5시간 만 혈중 최고 농도 도달, 평균 반감기 11.6~13.7시간 등이 확인됐다고
SK바이오팜·유로파마, AI 뇌전증 관리 벤처 설립
알피바이오, 기능성 홍삼 젤리 식약처 안정성 검토 완료
한미약품, 미국서 첫 표적단백질분해 물질 공개
셀트리온스킨큐어, 병의원 전용 피부 설루션 '지피덤EX' 출시
메디칼산업
더보기
에스티팜 "에이즈 치료제 임상 2a상서 안전성 확인"
에스티팜은 지난 19~22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IDWeek 2025'에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 'STP0404'의 임상 2a상 중간 분석결과 안전성과 내약성 등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에이즈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발병하는 질환이다. 에스티팜은 임상 2a상에서 HIV-1에 감염됐지만 처방은 받지 않은 18~65세 성인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활성,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 특성을 평가했다. 중간 분석결과에 따르면 치료군에서 혈장 HIV-1 리보핵산(RNA) 수준이 11일까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평균 감소치는 ml당 1.191~1.552 log10 카피스(copies)로 미국식품의약국(FDA) HIV-1 감염 치료 가이드라인의 1차 효능 지표 충족 수준이 0.5 이상을 넘겼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치료 유발 이상 반응 16건 중 3건은 연구 약물과 관련 가능성이 있었지만, 중대한 이상반응이나 심각한 이상 반응, 투약 중단 사례는 중간 분석까지 관찰되지 않았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약동학에서는 용량의존적 증가, 투약 후 4.5~5.5시간 만 혈중 최고 농도 도달, 평균 반감기 11.6~13.7시간 등이 확인됐다고
SK바이오팜·유로파마, AI 뇌전증 관리 벤처 설립
알피바이오, 기능성 홍삼 젤리 식약처 안정성 검토 완료
한미약품, 미국서 첫 표적단백질분해 물질 공개
셀트리온스킨큐어, 병의원 전용 피부 설루션 '지피덤EX' 출시
메디칼산업
더보기
에스티팜 "에이즈 치료제 임상 2a상서 안전성 확인"
에스티팜은 지난 19~22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IDWeek 2025'에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 'STP0404'의 임상 2a상 중간 분석결과 안전성과 내약성 등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에이즈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발병하는 질환이다. 에스티팜은 임상 2a상에서 HIV-1에 감염됐지만 처방은 받지 않은 18~65세 성인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활성,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 특성을 평가했다. 중간 분석결과에 따르면 치료군에서 혈장 HIV-1 리보핵산(RNA) 수준이 11일까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평균 감소치는 ml당 1.191~1.552 log10 카피스(copies)로 미국식품의약국(FDA) HIV-1 감염 치료 가이드라인의 1차 효능 지표 충족 수준이 0.5 이상을 넘겼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치료 유발 이상 반응 16건 중 3건은 연구 약물과 관련 가능성이 있었지만, 중대한 이상반응이나 심각한 이상 반응, 투약 중단 사례는 중간 분석까지 관찰되지 않았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약동학에서는 용량의존적 증가, 투약 후 4.5~5.5시간 만 혈중 최고 농도 도달, 평균 반감기 11.6~13.7시간 등이 확인됐다고
SK바이오팜·유로파마, AI 뇌전증 관리 벤처 설립
알피바이오, 기능성 홍삼 젤리 식약처 안정성 검토 완료
한미약품, 미국서 첫 표적단백질분해 물질 공개
셀트리온스킨큐어, 병의원 전용 피부 설루션 '지피덤EX' 출시
미·유럽 암학술대회 보스턴서 개막…혁신 선보이는 K-바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