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742 박연경 아나운서 jalim bak 2021/01/19 28 0
741 갑주 누나 시스루 jalim bak 2021/01/19 22 0
740 러시아 바다 jalim bak 2021/01/19 25 0
739 어깨 목 뭉쳤을 때 마사지 jalim bak 2021/01/16 41 0
738 유통기한 지난 후 식품별 소비기한 jalim bak 2021/01/16 33 0
737 돼지고기 육회 비쥬얼 jalim bak 2021/01/16 43 0
736 매니아층 두텁다는 아오이 츠카사 jalim bak 2021/01/16 40 0
735 신나는 해변가 서양 누나 jalim bak 2021/01/16 38 0
734 자는 척하고 있는 아내 jalim bak 2021/01/16 37 0
733 해맑게 야함 jalim bak 2021/01/16 29 0
732 갤럭시 z플립 리뷰녀 jalim bak 2021/01/16 28 0
731 가슴 큰 누나들이 하는 장난 jalim bak 2021/01/16 347 0
730 벤츠 공동구매 알고보니 다단계;; 다단계의 위험성과 방지책 jalim bak 2021/01/16 54 0
729 우리 건설현장은 왜 청년 일자리의 무덤이 됐나? jalim bak 2021/01/16 48 0
728 스폰서 제안 폭로한 타히티 지수. 연예계 스폰서 계약은 어떤가? jalim bak 2021/01/16 35 0
727 말을 했다는 것은 내 성격상 용서가 안되는 일이니까. 김기수 2021/01/15 51 0
726 사진설명차세대 단백질원으로 주목받는 친환경 식재료 ‘귀뚜라미 음식(5위)’. jalim bak 2021/01/15 36 0
725 국내에선 아직 구할 수 없고, 먼저 출시된 홍콩, 대만, 이라크에서 한국 돈 약 18만 원 수준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jalim bak 2021/01/15 37 0
724 한국에서 가장 비싼 마스크는 LG의 퓨리케어 마스크입니다. jalim bak 2021/01/15 48 0
723 다이아, 백금, 크리스털로 꾸민 일본 마스크 jalim bak 2021/01/15 40 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0년 의무복무' 지역의사제…"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첫발"
지역의사제 법안이 급물살을 타면서 이르면 내년 고등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27학년도 의대 입시에서부터 지역의사선발전형이 치러지게 된다. 10년간 지역에서 의무적으로 근무하게 하는 이 제도가 고질적인 지역·필수의료 공백을 메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한 '지역의사의 양성 및 지원 등에 관한 법률안'은 의대 신입생 중 일부를 지역의사선발전형으로 뽑아 학비 등을 지원하고 졸업 후 10년간 정해진 지역에서 의무복무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의무복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시정명령을 거쳐 1년의 범위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의사 면허 자격을 정지할 수 있다. 자격 정지 3회 이상이면 의사 면허를 취소할 수도 있다. 지역 간 의료인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해 지방 환자들의 서울 원정 진료가 계속되고, 의료 취약지역에선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까지 발생하면서, 그 대안으로 지역의사제를 도입하자는 논의는 수년 전부터 나왔다. 2020년에도 정부는 의대생 10년간 4천 명 증원과 함께 지역의사제 도입을 추진했으나 의료계의 거센 반발에 무산됐다. 2023년에는 야당이던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지역의사제법이 상임위를 통과하기도 했으나 당시 윤석열 정부는 "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백신주권' 없는 한국, 그날의 혼란 반복하지 않으려면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한국이 가장 크게 흔들린 순간은 확진자 급증이 아니라, 백신 도입이 늦어지던 시기였다. 세계 주요 선진국들이 자국에서 생산한 백신으로 접종 일정을 앞당기는 동안, 한국은 물량이 제때 들어오지 않아 접종 계획을 여러 차례 조정해야만 했다. 정부는 1회분에 수십 달러에 달하는 백신을 사기 위해 밤낮없이 글로벌 제약사와 협상했고, 국민들은 매일 뉴스를 확인하며 '언제 맞을 수 있나'를 걱정했다. 세계적인 방역 모범국이었지만, 백신만큼은 끝내 수입 의존국이라는 현실을 피하지 못한 셈이다. 더 뼈아픈 지점은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 종료를 선언한 지 2년 6개월이 지났지만 한국이 아직도 mRNA 백신을 개발하지 못해 '백신 주권'을 완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다가는 다음 팬데믹이 닥쳤을 때도 해외 의존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질병관리청이 최근 공공백신 개발과 mRNA 백신 플랫폼 구축에 팔을 걷어붙인 배경도 여기에 있다. 감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세계 각국이 백신 확보 전쟁을 치르는 현실에서, 백신을 스스로 개발해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국가 안보의 문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두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