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9112 용 두 마리가 죽을 각오로 싸운다면 결과는 어떻게 될까? 용용 죽겠지 i5Ct6FQ 이성도 2021/05/14 31 0
9111 장희빈이란? 장안에서 희귀한 빈대 dle3DdU 이성도 2021/05/14 61 0
9110 돼지가 열 받으면 어떻게 될까? 바비큐 vzXsqNV 이성도 2021/05/14 51 0
9109 여자만 먹는 음식은? 여탕 eEnHVAo 이성도 2021/05/14 61 0
9108 제일 쓸모없는 구리는? 멍텅구리 03yRawf 이성도 2021/05/14 53 0
9107 세계에서 몸집에 제일 큰 여자에 이름은? 태평양 9mfs20u 이성도 2021/05/14 58 0
9106 세상에서 제일 더러운 집은? 똥~집 Ta4IIMX 이성도 2021/05/14 45 0
9105 나폴레옹에 묘 이름은? 불가능 능-陵 OiVTSy2 이성도 2021/05/14 37 0
9104 A젖소와 B젖소가 싸움을 했는데 싸움에서 B젖소가 이겼다왜 그랬을까? A젖소는 에이 졌소 이고 B젖소는 삐 졌소? Tjr38Gw 이성도 2021/05/14 49 0
9103 영빈이란 뭘까? 영원한 빈대 MmDc2sZ 이성도 2021/05/14 29 0
9102 눈뜨라는 말의 세계 공통어는? 아멘 EBECdCW 이성도 2021/05/14 27 0
9101 과거가 있기 때문에 성공한 사람은? 암행어사 hhQ8DMx 이성도 2021/05/14 45 0
9100 구슬을 한 글자로 줄이면 무엇이 되는가? 옥 감옥의 준말 2qs1Hik 이성도 2021/05/14 35 0
9099 바나나가 웃으면? 바나나킥 gbqxQIl 이성도 2021/05/14 58 0
9098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은 왜 서 있을까? 의자가 없으니까 cRez40u 이성도 2021/05/14 43 0
9097 임전무퇴란 무슨 말인가? 임산부 앞에서는 침을 뱉지 않는다. vB0lBhp 이성도 2021/05/14 42 0
9096 운전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재떨이는? 아스팔트 Gvx2xiF 이성도 2021/05/14 43 0
9095 최초의 씨받이 여인은? 하갈 quO6AI8 이성도 2021/05/14 623 0
9094 다리가 굵은 여자가 발을 물에 담그면 무엇이라고 할까? 동치미 Ulb8bRD 이성도 2021/05/14 56 0
9093 우리나라에서 도를 통한 스님이 제일 많은 절은? 통도사 5UR9Tsl 이성도 2021/05/14 41 0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결정 과정 세포 수준서 규명…생쥐 전체 뇌 활동지도 완성"
특정 의사결정을 할 때 뇌세포 하나하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생쥐의 전체 뇌 활동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분석 결과 뇌가 정보를 단계적으로 처리한다는 전통적인 위계적 관점과 달리 의사결정이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뇌 여러 영역에 분산돼 동시에 정교하게 조율된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유럽의 대학과 연구기관 12곳으로 구성된 국제 뇌 연구소(IBL) 연구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한 2편의 논문에서 생쥐가 의사결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탐침으로 뉴런 활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체 뇌 활동 지도를 만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IBL 공동 창립자인 스위스 제네바대 알렉상드르 푸제 교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일 뉴런 활동을 뇌 전체 차원에서 지도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50만개가 넘는 뉴런의 활동을 기록한 이 지도는 생쥐 뇌 279개 영역, 뇌 전체 용적의 95%가 담긴 방대한 규모"라고 말했다. 2017년 공식 출범한 IBL은 여러 연구실에서 동일한 도구와 데이터 처리 과정을 공유하는 새로운 협업 모델을 도입해 데이터 재현성을 확보했다. IBL 12개 연구실은 최신 전극 장치인 '뉴로픽셀 탐침(

메디칼산업

더보기
"우주서 신약 찾는다"…국내 첫 우주의약 실험 모듈 ISS 올라
우주의약 전문기업 스페이스린텍은 자체 개발한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이 지난달 25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해 미세중력 환경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BEE-PC1 모듈은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 단백질 결정화 실험을 수행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우주비행사의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실험할 수 있다. 이 모듈은 지난달 24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을 통해 발사됐다. 스페이스린텍은 이번 우주 실험을 통해 지상에서는 확보하기 어려웠던 고정밀 단백질 구조 데이터를 직접 획득해 항암제 및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실험은 약 4개월간 진행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협력해 차세대 폐암치료제 개발 자료로 쓰일 예정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스페이스린텍은 올해 11월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와 이후 5차 발사 등에도 자체 개발한 신약개발 연구위성을 보낼 계획이다. 윤학순 스페이스린텍 대표는 "이번 연구는 대한민국 바이오 연구가 지상에서 우주로 확장되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과학적 성과들이 향후 암, 치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