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8972 낭떠러지 나무에 매달려 있는 사람이 싸는 똥은? 떨어질똥 말똥.죽을똥.쌀똥 TwJtDbC 이성도 2021/05/13 314 0
8971 여자는 무드에 약하다그럼 남자는 무엇에 약할까? 누드 c9HqRlM 이성도 2021/05/13 58 0
8970 잠을 잘 자는 여자 가수는? 이미자 MoeHjJQ 이성도 2021/05/13 56 0
8969 눈 깜작할 사이에 돈 버는 사람은? 사진사 s1bV5aM 이성도 2021/05/13 57 0
8968 경로석이란?뭘까? 경우에 따라 노인이 앉을 수 있는 자리 9n1YUzI 이성도 2021/05/13 59 0
8967 아기 낳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꼭 읽어야 하는 성경은? 에베소서. 에스라 zXKFjcf 이성도 2021/05/13 67 0
8966 싸움을 즐겨하는 나라는? 칠레 uuVBCHv 이성도 2021/05/13 71 0
8965 가정주부와 엄마와 가장 친한 성경의 인물은? 도마 nN6Vn2J 이성도 2021/05/13 63 0
8964 두 가지를 합치면 80가지 밥이 되는 것은? 쉰밥과 서른 설은 밥 ivLm3xv 이성도 2021/05/13 54 0
8963 미여란 어떤 사람인가? 미련한 여자 FWcmiEB 이성도 2021/05/13 62 0
8962 개 중에 가장 아름다운 개는? 무지개 0NKmwez 이성도 2021/05/13 56 0
8961 여자는 무드에 약하다그럼 남자는 무엇에 약할까? 누드 uh9M1QC 이성도 2021/05/13 52 0
8960 엿장수는 하루에 몇 번이나 가위질을 할까? 엿장수 맘대로 FT57PzR 이성도 2021/05/13 65 0
8959 남녀평등이란? 남자나 여자나 모두 등이 평평하다 io6tvpp 이성도 2021/05/13 29 0
8958 나폴레옹에 묘 이름은? 불가능 능-陵 XNG83Al 이성도 2021/05/13 64 0
8957 출전한 선수 모두가 기도를 드리고 시작하는 운동경기는? 합기도 KcH5UN5 이성도 2021/05/13 53 0
8956 세균 중에서 제일 센 대장은? 대장균 K0BFlR9 이성도 2021/05/13 31 0
8955 이상한 사람들이 모이는 곳은? 치과 IITbAt2 이성도 2021/05/13 44 0
8954 젖소에게는개가 있고 여자에게는개가 있는 것은? 다리 GNCShcQ 이성도 2021/05/13 63 0
8953 성경 인물 중 미루기를 제일 잘하는 사람은? 요담 에하지요 s2ZPM5n 이성도 2021/05/13 55 0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결정 과정 세포 수준서 규명…생쥐 전체 뇌 활동지도 완성"
특정 의사결정을 할 때 뇌세포 하나하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생쥐의 전체 뇌 활동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분석 결과 뇌가 정보를 단계적으로 처리한다는 전통적인 위계적 관점과 달리 의사결정이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뇌 여러 영역에 분산돼 동시에 정교하게 조율된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유럽의 대학과 연구기관 12곳으로 구성된 국제 뇌 연구소(IBL) 연구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한 2편의 논문에서 생쥐가 의사결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탐침으로 뉴런 활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체 뇌 활동 지도를 만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IBL 공동 창립자인 스위스 제네바대 알렉상드르 푸제 교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일 뉴런 활동을 뇌 전체 차원에서 지도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50만개가 넘는 뉴런의 활동을 기록한 이 지도는 생쥐 뇌 279개 영역, 뇌 전체 용적의 95%가 담긴 방대한 규모"라고 말했다. 2017년 공식 출범한 IBL은 여러 연구실에서 동일한 도구와 데이터 처리 과정을 공유하는 새로운 협업 모델을 도입해 데이터 재현성을 확보했다. IBL 12개 연구실은 최신 전극 장치인 '뉴로픽셀 탐침(

메디칼산업

더보기
"우주서 신약 찾는다"…국내 첫 우주의약 실험 모듈 ISS 올라
우주의약 전문기업 스페이스린텍은 자체 개발한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이 지난달 25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해 미세중력 환경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BEE-PC1 모듈은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 단백질 결정화 실험을 수행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우주비행사의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실험할 수 있다. 이 모듈은 지난달 24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을 통해 발사됐다. 스페이스린텍은 이번 우주 실험을 통해 지상에서는 확보하기 어려웠던 고정밀 단백질 구조 데이터를 직접 획득해 항암제 및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실험은 약 4개월간 진행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협력해 차세대 폐암치료제 개발 자료로 쓰일 예정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스페이스린텍은 올해 11월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와 이후 5차 발사 등에도 자체 개발한 신약개발 연구위성을 보낼 계획이다. 윤학순 스페이스린텍 대표는 "이번 연구는 대한민국 바이오 연구가 지상에서 우주로 확장되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과학적 성과들이 향후 암, 치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