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암세포 증식 이유 밝혀...치료법 개발 가능"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진, '세포 생물학 저널'에 논문

 대장암은 보통 직장암과 결장암을 아울러 말하는 것이다.

 그런 대장암의 약 80%는, APC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유전자는 세포 내 베타 카테닌(βcatenin) 단백질 수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대장암 세포에 베타 카테닌 수위가 올라가면 세포핵에 이 단백질이 쌓이면서, 암세포 증식을 몰고 오는 다수의 유전자가 활성화된다. 대장암 종양의 성장과 유지를 촉진하는 것도 이 단백질 축적의 영향이다.

 그런데 수위가 높아진 베타 카테닌이 어떻게 세포핵에 들어가는지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베타 카테닌을 대장암 세포의 핵 안으로 운반하는 '임포틴-11'이라는 단백질을 캐나다 토론토대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임포틴-11이 관여하는 이 운반 과정을 억제하는 게, 베타 카테닌의 수위 상승이 유발하는 대장암의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수행한 토론토대 약학부의 스테판 앵거스 교수팀은 27일(현지시간)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 '세포 생물학 저널(Journal of Cell Biology)'에 발표했다.

 미국 록펠러대 출판부가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임포틴은 핵 위치 신호(NLS)라는 특유의 인식배열에 결합해 다른 단백질 분자를 세포핵으로 옮기는, 수송 인자 단백질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하지만 이번 발견에도 불구하고 베타 카테닌의 세포핵 운반에 작용하는 분자 메커니즘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라고 한다.

 앵커스 교수는 "APC 돌연변이가 생긴 대장암 세포에서, 베타 카테닌의 지속적인 활성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확인하는 작업에 들어갔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로 인간 유전체를 전면 스크린해 특정한 유전자만 가려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목표는, APC 돌연변이로 베타 카테닌 수위가 상승한 이후 대장암 세포 내에서 베타 카테닌의 작용을 뒷받침하는 유전자를 찾아내는 것이었다.

 그렇게 발굴한 주요 유전자 중 하나가, 임포틴-11의 생성 정보를 가진 IPO 11이라는 유전자다.

 실험 결과 임포틴-11은 베타 카테닌과 결합해, APC 돌연변이가 생긴 대장암 세포의 핵으로 끌고 갔다.

 이런 암세포에서 임포틴-11을 제거하면 베타 카테닌이 세포핵으로 들어가지 못해, 표적 유전자도 활성화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대장암에서 임포틴-11 수위가 종종 상승하고, 이런 임포틴-11을 제거하면 APC 돌연변이로 생긴 암세포 덩어리(종양)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연구팀이 내린 결론은, 대장암 세포의 성장에 임포틴-11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임포틴-11이 베타 카테닌을 암세포의 핵으로 옮기는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하면, 이 과정을 차단해 APC 돌연변이 대장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병원 신설 문턱 높아진다…정부, '개설 허가 사전심의제' 도입
병원급 의료기관을 새로 열기 위한 절차가 한층 까다로워진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신청 전에 시도 의료기관개설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하고 다음 달 21일까지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공포된 개정 의료법의 후속 조치로, 병상 과잉 공급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별 의료 자원의 균형 있는 배치를 유도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사전심의 절차' 신설이다. 기존에는 병원 설립 때 시설, 인력 등 법정 기준만 충족하면 비교적 쉽게 개설 허가를 받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이 기준 충족 여부와 별개로 시도 단위의 위원회 심의라는 관문을 먼저 통과해야 한다. 정부가 이런 제도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병상 수급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특정 지역에 병상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불필요한 의료 경쟁을 유발하고, 정작 의료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 특히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효율적으로 의료 자원을 관리하는 게 그 어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노년기 유튜브 과의존…편향된 유튜브 이용이 결국 중독 불러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에게 소셜미디어(SNS) 속 영상과 댓글, 알림음은 이제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는 매력적인 친구가 됐다. 이 중에서도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즐거움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률을 견인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꼽힌다. 하지만 빛이 강렬할수록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 그동안 노인들에게 친구 노릇을 해온 유튜브의 과의존 및 중독 문제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들게 만들어진 유튜브의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이 노인들의 소중한 시간을 갉아먹고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가톨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이해국 교수는 최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개최한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노인 계층 디지털미디어 중독의 숨겨진 역학'이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짚었다. 이 교수는 먼저 국내에서 노인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증가에 따른 중독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0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매년 높아져 2024년에는 83.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이 특히 구별되는 건 다양한 매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