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암세포 증식 이유 밝혀...치료법 개발 가능"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진, '세포 생물학 저널'에 논문

 대장암은 보통 직장암과 결장암을 아울러 말하는 것이다.

 그런 대장암의 약 80%는, APC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유전자는 세포 내 베타 카테닌(βcatenin) 단백질 수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대장암 세포에 베타 카테닌 수위가 올라가면 세포핵에 이 단백질이 쌓이면서, 암세포 증식을 몰고 오는 다수의 유전자가 활성화된다. 대장암 종양의 성장과 유지를 촉진하는 것도 이 단백질 축적의 영향이다.

 그런데 수위가 높아진 베타 카테닌이 어떻게 세포핵에 들어가는지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베타 카테닌을 대장암 세포의 핵 안으로 운반하는 '임포틴-11'이라는 단백질을 캐나다 토론토대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임포틴-11이 관여하는 이 운반 과정을 억제하는 게, 베타 카테닌의 수위 상승이 유발하는 대장암의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수행한 토론토대 약학부의 스테판 앵거스 교수팀은 27일(현지시간)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 '세포 생물학 저널(Journal of Cell Biology)'에 발표했다.

 미국 록펠러대 출판부가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임포틴은 핵 위치 신호(NLS)라는 특유의 인식배열에 결합해 다른 단백질 분자를 세포핵으로 옮기는, 수송 인자 단백질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하지만 이번 발견에도 불구하고 베타 카테닌의 세포핵 운반에 작용하는 분자 메커니즘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라고 한다.

 앵커스 교수는 "APC 돌연변이가 생긴 대장암 세포에서, 베타 카테닌의 지속적인 활성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확인하는 작업에 들어갔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로 인간 유전체를 전면 스크린해 특정한 유전자만 가려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목표는, APC 돌연변이로 베타 카테닌 수위가 상승한 이후 대장암 세포 내에서 베타 카테닌의 작용을 뒷받침하는 유전자를 찾아내는 것이었다.

 그렇게 발굴한 주요 유전자 중 하나가, 임포틴-11의 생성 정보를 가진 IPO 11이라는 유전자다.

 실험 결과 임포틴-11은 베타 카테닌과 결합해, APC 돌연변이가 생긴 대장암 세포의 핵으로 끌고 갔다.

 이런 암세포에서 임포틴-11을 제거하면 베타 카테닌이 세포핵으로 들어가지 못해, 표적 유전자도 활성화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대장암에서 임포틴-11 수위가 종종 상승하고, 이런 임포틴-11을 제거하면 APC 돌연변이로 생긴 암세포 덩어리(종양)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연구팀이 내린 결론은, 대장암 세포의 성장에 임포틴-11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임포틴-11이 베타 카테닌을 암세포의 핵으로 옮기는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하면, 이 과정을 차단해 APC 돌연변이 대장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깜깜이' 병원평가…"'데이터 통합'으로 기준 바로 세워야"
A병원의 '의사 1인당 병상수'는 1.5명, B병원은 2.0명. 언뜻 B병원의 인력이 더 우수해 보이지만, 이는 착시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평가 지표는 이름만 같을 뿐, 20개에 달하는 평가 제도마다 계산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준이 통일되지 않은 평가는 결국 국민이 내는 건강보험 재정이 진정으로 의료의 질이 높은 병원에 보상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깜깜이 평가'라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 의뢰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최근 수행한 '건강보험 성과보상 근거 마련을 위한 의료기관 평가체계 개편 기반 연구'보고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편화된 현재의 평가 방식을 버리고 '표준화된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한 통합 평가체계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의료기관은 상급종합병원 지정, 의료 질 평가, 적정성 평가 등 20개의 각기 다른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지표만 1천개가 넘는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유사한 자료를 평가 기관마다 다른 양식으로 반복 제출해야 하는 행정 낭비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다. 보고서는 평가지표 이름이 동일하거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립산림과학원 '산양삼 추출물, 근력개선 효과' 확인…특허출원
국내 대표적인 숲푸드인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특별관리 임산물인 산양삼에 대한 기능성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산양삼 추출물을 활용해 근위축증과 근감소증 등 다양한 근육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식의약 소재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양삼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근육세포 생성을 촉진하고, 근위축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양삼은 철저한 생산관리를 통해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금지되며, 품질검사를 통과해 합격증을 받은 제품만 유통이 가능하다. 엄격한 관리 기준 덕분에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어 우리나라 대표 숲푸드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특허를 출원했다. 앞으로 기술이전을 통해 산양삼 추출물의 산업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희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장은 "그린 바이오산업 육성과 더불어 산양삼의 다양한 약리 효능을 밝혀 산업계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국내 연구진, 고가 장비 없이도 2시간내 식중독균 검출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존보다 간소화한 절차로 신속하게 식중독균을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건국대 생물공학과 박기수 교수 연구팀이 최근 대장균(O157:H7)과 리스테리아균을 감별하는 '엠플래시'(M-FLASH)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대장균(O157:H7)과 리스테리아균은 감염 시 위장염, 패혈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이다. 기존의 검출법은 정확도는 높지만, 오랜 분석 시간과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이번에 개발한 엠플래시는 복잡한 전처리 없이 대장균과 리스테리아균을 고감도로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2시간 이내로 고가의 장비 없이 현장에서 즉각 병원균을 검출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고가의 형광 탐지기를 사용하거나 시료 변형이 필요한 기존 진단법과 달리 등온핵산증폭기술과 금나노입자 탐침 기술 등을 활용해 간소화된 절차로 식중독균 검출 기술을 구현했다. 등온핵산증폭기술이란 온도 변화를 위한 장비 없이도 일정한 온도에서 핵산을 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 기술을 뜻한다. 금나노입자탐침은 특정 물질을 검출하거나 이미지 처리(imaging)하는 데 사용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