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니코틴, 뇌 노화 촉진…흡연은 음주보다 더 나뻐"

  음주와 흡연이 뇌 노화를 촉진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대학 의대의 아서 토가 신경과학 교수 연구팀이 1만7천308명(45~81세)을 대상으로 음주, 흡연 습관을 조사하고 이들의 뇌 MRI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인터넷판 등이 1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뇌 MRI 영상을 컴퓨터에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시킨 다음 이들의 뇌 나이와 실제 나이를 비교하도록 했다.

 그 결과 음주의 경우 하루 알코올 섭취량이 1g 증가할 때마다 뇌는 0.02년(7.5일) 더 빨리 늙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 1잔에는 8g의 알코올이 들어있다. 술 종류별로는 독주가 1잔, 맥주 1파인트(pint) 또는 포도주 큰 잔 하나는 3잔에 해당한다.

 매일 또는 일주일 거의 내내 술을 마시는 사람은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뇌 나이가 0.4년(5개월) 더 늙은 것으로 분석됐다.

 흡연은 음주보다 더 나쁜 결과가 나왔다.

 흡연량이 1갑년(pack-year) 증가할 때마다 뇌 나이는 0.03년(11일) 더 빨리 늙는 것으로 밝혀졌다.

 갑년은 하루 평균 흡연량(갑)에 흡연 기간(년)을 곱한 것이다.

 음주와 흡연이 잦은 사람은 뇌의 회색질(grey matter)과 백질(white matter) 그리고 뇌 용적(brain volume)이 나이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뇌 MRI 영상에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뇌는 신경 세포체로 구성된 겉 부분인 피질과 신경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피질은 회색을 띠고 있어 회색질,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불린다.

 이 결과는 음주와 흡연이 뇌 노화를 촉진하는 환경적 요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제17번 염색체에 있는 MAPT 유전자 변이가 뇌 노화를 빠르게 하는 유전적 요인이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병원 신설 문턱 높아진다…정부, '개설 허가 사전심의제' 도입
병원급 의료기관을 새로 열기 위한 절차가 한층 까다로워진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신청 전에 시도 의료기관개설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하고 다음 달 21일까지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공포된 개정 의료법의 후속 조치로, 병상 과잉 공급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별 의료 자원의 균형 있는 배치를 유도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사전심의 절차' 신설이다. 기존에는 병원 설립 때 시설, 인력 등 법정 기준만 충족하면 비교적 쉽게 개설 허가를 받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이 기준 충족 여부와 별개로 시도 단위의 위원회 심의라는 관문을 먼저 통과해야 한다. 정부가 이런 제도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병상 수급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특정 지역에 병상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불필요한 의료 경쟁을 유발하고, 정작 의료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 특히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효율적으로 의료 자원을 관리하는 게 그 어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노년기 유튜브 과의존…편향된 유튜브 이용이 결국 중독 불러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에게 소셜미디어(SNS) 속 영상과 댓글, 알림음은 이제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는 매력적인 친구가 됐다. 이 중에서도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즐거움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률을 견인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꼽힌다. 하지만 빛이 강렬할수록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 그동안 노인들에게 친구 노릇을 해온 유튜브의 과의존 및 중독 문제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들게 만들어진 유튜브의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이 노인들의 소중한 시간을 갉아먹고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가톨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이해국 교수는 최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개최한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노인 계층 디지털미디어 중독의 숨겨진 역학'이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짚었다. 이 교수는 먼저 국내에서 노인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증가에 따른 중독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0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매년 높아져 2024년에는 83.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이 특히 구별되는 건 다양한 매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