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도 중독성…약물 중독과 같은 메커니즘 작용"

전두엽 피질-변연계 신경회로, D2 도파민 수용체 관여 확인
바르셀로나 공립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논문

 어느 정도까지 먹는 걸 자제하지 못하면 '음식 중독'으로 봐야 할까?

 먹는 걸 참지 못하는 것에 중독성이 있는지는 아직 과학계의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

 그런데 음식 섭취를 절제하지 못하는 행동 장애에, 약물 중독과 비슷한 신경생리학적 메커니즘이 관여한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음식에도 중독성이 있다는 걸 시사한다.

 이런 행동 장애는, 대뇌 전두엽 피질의 특정 영역이 음식 섭취의 통제력을 상실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아울러 약물 중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D2 도파민 수용체가 먹는 걸 참지 못하는 행동 장애에 관여한다는 것도 확인됐다.

 이 연구를 수행한 스페인 바르셀로나 공립대(UDF)의 라파엘 말도나도 약물학 교수팀은 지난 7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이 대학은 별도의 논문 개요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이 연구엔 독일 마인츠 대, 바르셀로나 자치 대학 등의 연구진도 참여했다.

 먹는 걸 참지 못하는 음식 중독은, 세계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는 비만이나 섭식 장애와 연관이 있다. 

 이번 연구 결과가 주목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음식 중독과 약물 중독은 똑같이 만성적이고, 여러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복잡하게 얽힌 상호작용의 결과라는 게 연구팀의 결론이다.

 음식 중독과 약물 중독이 동일한 신경생리학적 메커니즘을 공유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먹이에 대한 강한 동기와 충동, 강박적인 먹이 찾기 등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이는 생쥐에 실험해, 중독성 행동의 발달을 유도하는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찾아냈다.

 이 메커니즘의 핵심은, 대뇌 전두엽 피질에서 측좌핵(nucleus accumbens), 즉 변연계로 이어지는 신경 회로다. 대뇌와 간뇌 사이에 위치한 변연계는 보상 및 쾌락에 관여한다.

 실험 결과, 중독증이 있는 생쥐는 이 신경 회로의 활성도가 낮았고, 반대로 중독에 내성이 강한 생쥐는 이 회로의 활성도가 높았다.

 이 신경 회로의 활성도가 낮은 생쥐는 먹는 걸 참는 능력을 상실해 중독성 행동으로 이행할 위험이 커졌다.

 D2 도파민 수용체가 대뇌 피질에서 음식 중독에 관여한다는 걸 발견한 것도 이번 연구의 주요 성과로 꼽힌다.

 지금까지 이 수용체는 피질 하부 영역과 변연계에서 약물 중독과 연관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음식에 중독되면 대뇌 전두엽 피질의 D2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가 과도히 발현해, 음식 섭취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다는 걸 입증했다.

 이런 생쥐가 먹이를 먹으면 측좌핵의 도파민 분비량이 증가해, 쾌락을 보상으로 받았다. 보상과 쾌락은 중독 증세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UDF의 신경 약물학 실험실 책임자인 말도나도 교수는 "뇌 구조에서 행동 제어의 최상위층에 위치한 대뇌 피질은 (이상 행동의) 치료와 관련해 큰 관심을 받는 영역"이라면서 "이번에 발견한 신경회로를 자극해 활성화하는 게 음식 중독에 대한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병원 신설 문턱 높아진다…정부, '개설 허가 사전심의제' 도입
병원급 의료기관을 새로 열기 위한 절차가 한층 까다로워진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신청 전에 시도 의료기관개설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하고 다음 달 21일까지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공포된 개정 의료법의 후속 조치로, 병상 과잉 공급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별 의료 자원의 균형 있는 배치를 유도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사전심의 절차' 신설이다. 기존에는 병원 설립 때 시설, 인력 등 법정 기준만 충족하면 비교적 쉽게 개설 허가를 받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이 기준 충족 여부와 별개로 시도 단위의 위원회 심의라는 관문을 먼저 통과해야 한다. 정부가 이런 제도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병상 수급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특정 지역에 병상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불필요한 의료 경쟁을 유발하고, 정작 의료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 특히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효율적으로 의료 자원을 관리하는 게 그 어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노년기 유튜브 과의존…편향된 유튜브 이용이 결국 중독 불러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에게 소셜미디어(SNS) 속 영상과 댓글, 알림음은 이제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는 매력적인 친구가 됐다. 이 중에서도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즐거움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률을 견인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꼽힌다. 하지만 빛이 강렬할수록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 그동안 노인들에게 친구 노릇을 해온 유튜브의 과의존 및 중독 문제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들게 만들어진 유튜브의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이 노인들의 소중한 시간을 갉아먹고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가톨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이해국 교수는 최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개최한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노인 계층 디지털미디어 중독의 숨겨진 역학'이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짚었다. 이 교수는 먼저 국내에서 노인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증가에 따른 중독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0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매년 높아져 2024년에는 83.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이 특히 구별되는 건 다양한 매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