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생선 섭취, 자녀 대사증후군 위험↓"

 임신 중 생선을 적당히 섭취하면 자녀의 대사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대학 의대의 레다 차트지 예방의학 교수 연구팀은 임신 중 생선을 매주 1~3회 섭취하면 태어난 자녀의 대사증후군위험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ScienceDaily)가 21일 보도했다.

 유럽 5개국의 모자(mother-child) 805쌍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어머니에게는 임신 중 생선을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 묻고 자녀를 대상으로는 6~12살 사이에 허리둘레, 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을 측정,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했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좋은 콜레스테롤(HDL) 혈중 수치 표준 이하 ▲중성지방 과다 등 5가지 중 3가지 이상이 해당하는 경우로 이런 사람들은 심혈관질환, 당뇨병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분석 결과 임신 중 매주 생선을 1~3회 먹은 여성의 자녀는 생선 섭취 빈도가 주 1회 미만인 여성의 자녀보다 대사 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아이들은 또 대사증후군을 촉진할 수 있는 염증 유발 물질인 사이토카인(cytokine)과 아디포카인(adipokine)의 혈중 수치도 낮았다.

 그러나 임신 중 생선 섭취 빈도가 주 3회 이상인 여성의 자녀는 오히려 이러한 효과가 적었다.

 이 결과는 임신 중 생선 섭취는 주 1~3회 정도로 제한하고 그 이상은 섭취하지 않도록 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그 이유는 생선은 수은과 기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을 함유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생선은 태아 발달에 중요한 영양소인 오메가-3 지방산의 중요한 공급원이지만 고등어, 황새치, 상어 등 일부 생선은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수은 오염도가 높아 임신 중 섭취에는 신중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은 오염은 토양, 물, 공기, 식물에도 존재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통풍 유발하는 '고요산혈증' 유전요인 351개 발견"
질병관리청은 고요산혈증 발병 위험을 높이는 351개의 유전 요인을 찾아내 고위험군 선별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고요산혈증이란 단백질의 일종인 '퓨린'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체내에 요산이 쌓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통풍과 고혈압,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과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원홍희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과 영국·일본 바이오뱅크 등에 등록된 유럽인·한국인·일본인 102만9천323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고요산혈증에 영향을 미치는 351개의 유전 요인을 찾아냈으며, 이 중 단백질 상호작용과 관련된 'KLHDC7A' 등 17개의 유전자는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은 요인이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러한 유전적 요인의 위험도를 분석했을 때, 위험 요인을 보유한 상위 10% '고요산혈증 고위험군'은 하위 10%의 저위험군과 비교해 통풍 발병 위험도는 7배, 고혈압 발병 위험도는 1.5배 높았다. 질병청은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생활 습관을 개선하더라도 일반인에 비해서 높은 요산 수치를 보이기 때문에 고요산혈증 발병에 주의해야 한다"며 "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