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4일 조간)

▲ 경향신문 = 한동훈의 법무부 장관 직행, 가당치도 않다

통합·균형 무색하게 영남·60대·서울대·남성 치우친 내각

자기 학교 의대에 두 자녀 편입시킨 정호영, 검증은 한 건가

▲ 국민일보 = 정호영 후보자의 자녀 특혜 의혹과 그릇된 여성관

대통령의 검수완박 침묵은 민주당 입법 독주 묵인이다

법무장관에 한동훈 낙점, 尹당선인 독선 아닌가

▲ 서울신문 = 엄중한 경제 상황, 금리 결정 시기 놓쳐선 안 돼

박진 외교·권영세 통일 장관 후보자 앞에 놓인 과제

한동훈 법무장관 깜짝 발탁, 신구 권력 충돌 우려된다

▲ 세계일보 = 美도 비판한 '언론재갈법' 강행처리하려는 민주당의 폭주

국민만 피해 볼 '검수완박'…文 대통령, 반대 입장 밝혀야

법무장관에 한동훈 파격 발탁, 정국 긴장 고조 우려된다

▲ 아시아투데이 = 에너지 정책, 탈탄소 추세와 효율성 고려하길

성장·물가 어려운 가운데 출발하는 새 정부

▲ 조선일보 = 툭하면 '병역 특례' 논란 벌이는 세계 유일 분단국

기대와 우려가 함께 나오는 한동훈 법무 장관 지명

민주당, 헌정사에 씻을 수 없는 오점 찍지 말아야 한다

▲ 중앙일보 = 권순일 대장동 의혹, 대법원이 규명해야

새 정부, 마음 열고 널리 인재 구했는지 의문

▲ 한겨레 = 인수위의 일부 매체 출입 불허, 언제 적 '허가제'인가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팔고 새집 사는 길 열어선 안돼

'검찰 직할 통치' 의도 드러낸 한동훈 법무장관 지명

▲ 한국일보 = 노동계 도심집회 유감이나 합리적 조정할 때 됐다

공동정부·통합 안 보이는 尹 당선인 2차 조각

'검수완박'에 한동훈 법무 맞불…극한 대립 치닫나

▲ 디지털타임스 = 새 정부 출범도 전 여야 '강대강'…민생 묻힐까 걱정된다

양대노총, 횡령에 '갑질'까지…노동개혁 화급한 이유다

▲ 매일경제 = 한동훈 법무부 장관 깜짝 발탁, 측근 논란 부담스럽지 않겠나

검찰총장이 반헌법 폭거 규정한 검수완박, 대통령 입장은 뭔가

창사 12년만에 3대 고용기업된 쿠팡, 혁신이 일자리다

▲ 브릿지경제 = 민주당은 정녕 '제왕적 국회' 만들 셈인가

▲ 서울경제 = 자화자찬과 변명으로 끝낸 文정부 경제팀의 아집

정권 말 막가파식 폭주하라고 국민이 172석 준 게 아니다

새 내각, 권한과 책임 갖고 성장·안보·통합 추구하라

▲ 이데일리 = 확산되는 신흥국 경제위기, 한국도 안전지대 아니다

'검수완박' 올인 민주당, 경제안보법은 안중에도 없나

▲ 전자신문 = 5G 장비, 미국 뚫어야 '수출 훈풍'

일상회복, 철저한 대비가 먼저

▲ 한국경제 = 與 '검수완박'을 비판하는 4가지 이유

택시대란, 탄력요금제와 면허전환제로 풀어라

▲ e대한경제 = 민주당의 '검수완박' 당론 채택 누구를 위한 것인가

美 고물가와 '빅스텝' 결코 남의 나라 일 아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