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2일 조간)

▲ 경향신문 = 여가부 폐지를 둘러싼 권성동과 김현숙의 궤변 릴레이

자영업자 등 370만명에 '600만원+α' 지원 신속히 집행해야

통합이 그렇게 당연한 가치라면 정호영 낙마로 보여줘야

▲ 국민일보 = 컨트롤타워 부재로 코로나 방역 차질 빚어선 안 돼

소상공인 손실보상 600만원+α, 여야 협치 첫 시험대

정치의 사법화 악순환에서 여야 모두 벗어나야

▲ 서울신문 = 한미동맹 벼랑에 세운 文 외교, 반면교사 삼아야

한일 관계 개선의 시발점 될 김포~하네다 노선 복원

민주당은 소상공인 보상 '35조+α' 추경, 협력하라

▲ 세계일보 = 4월 취업 절반이 '관제알바', 새 정부 일자리 대책은 달라야

여야 한발씩 양보해 총리 없는 '반쪽 내각' 정상화하라

소상공인 손실 보상, 스태그플레이션 악화 최소화하길

▲ 아시아투데이 = 한·미 회담, 철저한 준비로 기대한 것 얻기를

추경호 팀, 누증될 국채 감축계획도 제시하길

▲ 조선일보 = "사드 철수 고려" "미군 완전 철수" 낭떠러지 달렸던 韓美동맹

빚 안 늘리고 33조원 소상공인 지원, 맞는 방향이다

반쪽 내각'도 못 채우게 가로막는 민주당, 민생은 안중에 없나

▲ 중앙일보 = 불가피한 소상공인 추경, 국회 신속하게 처리해야

윤 대통령 출근길 언론과 문답, 소통 상시화하길

▲ 한겨레 = 혐오·비하 발언 비판에 음모론 꺼내든 다문화비서관

'자영업 2차 추경' 미루다 선거 코앞에 확정한 여당

5년 만에 뒤바뀐 여야, 내각 구성 등 협치 나서야

▲ 한국일보 = 코로나 방역 지휘부 공백, 하루빨리 해소를

여야 '인준' 대치… 정국 파국 피해야

33조+α 추경안, 재원 대책 확실히 세워라

▲ 디지털타임스 = 소상공인 손실보상, 혈세 새는 일 없게 대상선정 엄격히 해야

野 '文보복수사 마각' 운운 한동훈 비난… 법치 부정 아닌가

▲ 매일경제 = 대기업총수 초대한 대통령 만찬, 기업인 氣살리기 출발점 되길

청문회 헛발질한 민주당, 총리 인준까지 발목 잡을 건가

팬데믹 손실보상의 선례될 추경, 물가·재정부담 최소화해야

▲ 브릿지경제 = 새정부 첫 협치 시험대 '추경' 잘 풀어야

▲ 서울경제 = "北 핵물질 생산 지속" …강한 국방력이 '지속 가능 평화' 초석

공짜버스' 경쟁에 빠진 지방선거 포퓰리즘

공공기관 방만 경영 메스가 구조 개혁 첫걸음이다

▲ 이데일리 = 민간주도 경제 재건, 강력한 실천의지에 성패 달렸다

2008년 닮아가는 경제, 윤 정부 위기대응 빈틈 없어야

▲ 전자신문 = 중국 도시 봉쇄, 남의 일 아니다

거꾸로 가는 혁신형 SMR사업

▲ 한국경제 = 나토 가입하는 핀란드, 안보를 강대국 호의에 맡길 수는 없는 법

中 취임 사절, 축하하러 왔나 사드 협박하러 왔나

맹목적 통합·섣부른 협치론을 경계한다

▲ e대한경제 = 적극적 코로나 손실보상, 물가 등 부작용 최소화해야

尹 대통령의 강력한 한·미동맹에 달라진 일본과 중국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