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 경향신문 = 첫 시정연설에서 초당적 협력 강조한 윤 대통령

'검수완박'은 목숨 걸고 막더니 '검수완판' 인사인가

경제난 부추길 국제적 '식량 안보' 조치, 대비책 서둘러야

▲ 국민일보 = 초당적 협력 강조한 윤 대통령이 먼저 손 내밀어야

코로나 방역 지원 제안에 북한은 속히 응하라

권한 커진 '공룡 경찰', 민주적 통제장치 제대로 갖추길

▲ 서울신문 = 與 5·18 기념식 총출동, 통합의 큰 걸음 돼야

尹, 야당 협치 위해 인사 논란 속히 정리하길

간판 청년 정치인마저 성추행당한 정의당

▲ 세계일보 = 초당적 협력 강조한 尹 국회 연설, 구두선에 그쳐선 안 돼

"정권에 맞서겠다"는 민주당 국회의장 후보자의 궤변

코로나 속수무책 北, 현실 직시하고 南지원 수용하길

▲ 아시아투데이 =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제한, 반대할 명분 없어

3대 리스크에 지목된 '글로벌 공급망 확보'

▲ 조선일보 = "더는 못 미뤄" 연금·노동·교육개혁에 尹 정부와 여야 명운 걸어야

高금리 쇼크, 정부는 빚 경감 나서고 은행도 고통 분담을

韓美, '핵우산 명문화'와 함께 실질적 군사 대비도 논의하길

▲ 중앙일보 = "엄중한 경제 상황" 공감한 경제부총리와 한은 총재

윤 대통령과 여야 악수…협치로 나아가야

▲ 한겨레 = 초당적 협력 강조한 윤 대통령, '문제 인사' 결단부터

북에 "아낌없는 지원" 밝힌 정부, 계속 문 두드려야

식량보호주의 급속 확산, '식량안보' 대책 시급하다

▲ 한국일보 = 협치 손길 내민 尹 대통령, 말로 그쳐선 안 돼

IPEF 참여 공식화…새 정부 외교 시험대 올랐다

용산 집무실 앞 집회 논란, 합리적 기준 마련해야

▲ 디지털타임스 = 의회 협치 강조 尹대통령, 행동으로 보여야 진정성 얻는다

元장관 '공급확대·규제완화' 주택정책 확인, 옳은 방향이다

▲ 매일경제 = 尹대통령이 강조한 연금·노동·교육개혁, 이젠 액션플랜 필요한 때

文정부서 56조 해외유출, 투자매력 떨어진 한국 걱정이다

대통령과 여당의원 5·18기념식에 전원 참석 환영한다

▲ 서울경제 = 한미동맹 업그레이드…미국도 달라져야 한다

초당적 협치로 나라 살리는 연금·노동·교육 개혁 나서야

대기업보다 연봉 많은 공공기관 수술 더 늦출 수 없다

▲ 이데일리 = 협치의 손 내민 윤 대통령, 민주당도 마다할 명분 없다

수출 효자산업 주목받는 K방산, 정부도 적극 지원해야

▲ 전자신문 = 야당 협조 절대적인 尹정부 국정

R&D 예타 개편, 속도가 중요

▲ 한국경제 = 尹대통령이 던진 구조개혁 출사표…대한민국 명운이 걸렸다

주목되는 秋·李 첫 회동, 위기 극복에 한 몸으로 움직여야

타인의 일상 야만적으로 짓밟는 확성기 시위

▲ e대한경제 = 협치 강조한 尹의 시정연설, 공은 민주당으로 넘어갔다

元 국토부장관의 '주거안정', 투명하고 일관성 있게 집행해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