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4일 조간)

▲ 경향신문 = 손흥민의 특별한 EPL 득점왕, 더 기대되는 미래

노무현 13주기에 함께 선 여야, 국민통합 실천하라

IPEF 가입, 새 경제질서 규범에 국익 최우선 원칙 지켜야

▲ 국민일보 = 민주당, 후반기 법사위원장 국민의힘에 넘겨야

검찰총장 인선, '친윤'보다 국민 '상식'에 무게 두길

대통령에게 'NO'라고 말할 수 있는 총리 기대한다

▲ 서울신문 = 민주당, 법사위원장 쥐고 입법 폭주 이어 가려는가

봉하마을 찾은 與 수뇌부, 소통과 통합 실천해야

바이든 약속한 기업 지원만큼 우리는 준비됐나

▲ 세계일보 = 원숭이두창' 확산 전 세계 초비상, 선제대응 태세 갖추길

합의 뒤집고 법사위원장 사수하겠다는 민주당의 뻔뻔함

여야 노무현 추도식 총집결…통합과 협치에 매진해야

▲ 아시아투데이 = 한·미 안보·경제동맹 구축, 중국도 달래야

지연된 선거무효소송 판결은 정의롭지 않다

▲ 조선일보 = 3월 국내 초과 사망 63% 급증, 코로나 역주행 방역이 빚은 비극

민심 외면 폭주 민주당, 대선 심판받고도 합의 또 무시

삼성 현대차 대규모 미국 투자, 한국도 최고 매력 투자처로 바꾸자

▲ 중앙일보 = 노력과 실력으로 MZ세대에 희망 준 손흥민

'기업하기 좋은 나라' 만드는 데 국가 미래 달렸다

▲ 한겨레 = 여야 함께 노 전 대통령 추모, '정치보복 수사' 다신 없길

'n번방 사건'의 경고, 아직 끝난 게 아니다

IPEF·미일동맹 강화, '질서 대전환' 기로에 선 아시아

▲ 한국일보 = 여야 지도부 집결한 盧 추도식, 협치로 이어지길

일본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 시기상조다

尹, IPEF 참여 선언…후속 논의서 리스크 관리해야

▲ 디지털타임스 = 글로벌 소통능력 국내외 알린 재계 리더들에 거는 기대 크다

韓 참여 IPEF 출범…국익·실용 원칙 아래 주도적 역할 해야

▲ 매일경제 = 北피살 공무원 이젠 사망원인·은폐의혹 밝힐 차례다

쓸 곳도 없는데 11조 증액한 교육교부금 정말 이대로 둘건가

IPEF 공식 출범, 정부와 기업 협력해 새 기회 찾자

▲ 브릿지경제 = 노무현 정신'을 정치적으로만 이용 말라

▲ 서울경제 = 노동계 총파업…尹 정부는 법치부터 바로 세워라

나라든 기업이든 실력 없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교훈

한중 관계 원점에서 리셋해야 할 시점이다

▲ 이데일리 = 나라는 빚더미, 학교는 돈잔치…국민 시선 두렵지 않나

한미 동맹의 판 바꾼 기업의 힘, 미 대통령이 보여줬다

▲ 전자신문 = K-클라우드 모델' 민·관 함께 키우자

반도체 강국, SW파워 뒷받침돼야

▲ 한국경제 = 盧 추도식까지 갈라치기 정치의 장으로 삼아서야

직업계高 미취업 방치하면서 무슨 청년고용을 떠드나

성큼 다가온 地經學시대…尹정부 앞에 놓인 난제들

▲ e대한경제 = 新기업가 정신 선포, ESG 경영 뛰어넘는 과제 실천해야

尹 정부, '규제 개혁' 없이는 '투자 주도 성장'도 없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