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5일 조간)

▲ 경향신문 = 강제동원 민관협의회 출범, 피해자 뜻 반영한 해법 찾아야

35일 만의 국회 정상화, 여야는 민생위기 극복에 총력을

박순애 임명 강행하고 지인을 공정위장 앉힌 윤 대통령

▲ 국민일보 = 강제동원 배상 민관협의회, 피해자 수긍하는 해법 마련을

김승희 사퇴·박순애 임명…'빈틈없는 발탁'이란 尹의 독선

한 달 허송세월한 국회, 이제 민생 좀 챙겨라

▲ 서울신문 = 박지현 출마 막은 민주당, 혁신이 그리 두렵나

이번만큼은 '재정준칙 없는 나라' 오명 벗자

너무 늦은 원 구성, 민생법안 처리에 전력 쏟아라

▲ 세계일보 = 아프면 쉴 권리' 傷病수당, 재원 충당 방안 마련이 먼저다

강제동원 '민관協', 한·일관계 물꼬 틀 해법 찾아야

지지율 급락 尹 대통령, "인사가 문제"란 민심 알고 있나

▲ 아시아투데이 = 아시아 최소 법인세율 같은 정책 펼치길

7·4 공동성명 50주년, 대치상황은 더 나빠져

▲ 조선일보 = 박지현 출마 불허 민주당, '이대녀' 토사구팽인가

복지부 장관 후보 연이은 사퇴, 인사 시스템 달라져야

고금리 깎아준다는 신한은행 상생 모델, 全 금융권 확산돼야

▲ 중앙일보 = 파국 면한 국회, 경제위기 대응에 힘 모아야

민관협의회와 재계회의, 한·일 관계 물꼬 트길

▲ 한겨레 = 강제동원 민관협의회 출범, '졸속 화해' 경계해야

35일 만에 국회 정상화, 민생 해결 조속히 나서야

'부적격' 박순애 임명 강행하며 "역량 빈틈없다"는 대통령

▲ 한국일보 = 김승희 낙마·박순애 강행…인사 검증 실패 아닌가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개점휴업' 한 달 만에 문 연 국회, 이제 민생 살펴라

▲ 디지털타임스 = 尹정부 국정 걸림돌 알박기 공기업 인사, 자진사퇴가 순리다

경제 초위기 속 지각 개원 국회, 일단 민생법안부터 처리하라

▲ 매일경제 = 나토 정상들의 관심도 원전, 반도체, 배터리順

중대재해법 거친 수사에 기업 쩔쩔, 예방보다 처벌에 무게 둔 결과

김진표 의장 선출, 21대 국회 후반기 2년은 확 달라지길

▲ 브릿지경제 = 법인세 인하를 경기회복 지렛대로 쓰자

▲ 서울경제 = 기업 팔 비틀어 채용 숫자 채우기 악습 버릴 때다

한일 모두 '정치 스모그' 벗어나 미래 지향 관계로 가야

R의 공포'…의장 선출한 국회가 규제 완화 속도 내라

▲ 이데일리 = 고삐 풀린 나랏빚, 재정준칙 도입 더 늦춰선 안 된다

은행권 대출금리 인하, 상생·배려의 본보기 될 수 있길

▲ 전자신문 = 경제 원팀, 손발 제대로 맞추자

산업 디지털전환 속도 높여야

▲ 한국경제 = 경제계가 끌고 가는 한·일 관계 정상화…게이단렌 방한 의미 있다

오세훈 시장의 안심소득 실험…근로의욕 살리는 것이 관건

못 지킬 탄소중립 목표…'文정부 약속' 폐기하고 속도조절 나서야

▲ e대한경제 = 중장기 전력 수급 안정 위해 서둘러 SMR 건설해야

기업 옥죄는 올가미 규제가 어디 100선뿐인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